대구간송미술관 개관 전시 첫날인 3일 오전 훈민정음 해례본과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한 각종 국보급 유산들을 보러 온 시민들로 전시장 앞이 긴 줄을 이루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전시 첫날인 3일 오전 훈민정음 해례본과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한 각종 국보급 유산들을 보러 온 시민들로 전시장이 붐비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전시 첫날인 3일 오전 훈민정음 해례본과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한 각종 국보급 유산들을 보러 온 시민들로 전시장이 붐비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전시 첫날인 3일 오전 훈민정음 해례본과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한 각종 국보급 유산들을 보러 온 시민들로 전시장이 붐비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전시 첫날인 3일 오전 훈민정음 해례본과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한 각종 국보급 유산들을 보러 온 시민들로 전시장이 붐비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전시 첫날인 3일 오전 관람객들이 훈민정음 해례본 진본을 살펴보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세종 28년인 1446년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자모글자 내용, 해설을 묶어 만든 책으로, 서울 밖에서 전시되는 것은 발견 이후 84년 만이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전시 첫날인 3일 오전 훈민정음 해례본과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한 각종 국보급 유산들을 보러 온 시민들로 전시장 앞이 긴 줄을 이루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전시 첫날인 3일 오전 관람객들이 훈민정음 해례본 진본을 살펴보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세종 28년인 1446년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자모글자 내용, 해설을 묶어 만든 책으로, 서울 밖에서 전시되는 것은 발견 이후 84년 만이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야고부-석민] 외교 대참사 예고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