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수처 채상병 사건 수사 촉구…韓 “민주, 특검법 발의 시한 제시 뜬금없어”

입력 2024-08-19 17:21:54 수정 2024-08-19 20:36:35

장동혁 "공수처, 신속하게 수사 마무리…국민 의혹 해소 촉구"
박찬대 "한동훈, 26일까지 조건이나 토 달지 말고 특검법 발의 요청"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운데)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운데)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향해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의 특검법 발의 압박에 대해선 수사 결과를 본 뒤에 판단해도 늦지 않다는 기존 입장을 강조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수석 최고위원은 1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수처는 신속하게 수사를 마무리하고 국민들의 의혹을 해소하기를 촉구한다"며 "1년 가까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아직도 결론을 낼 만큼 수사가 진행되지 않았다면 공수처는 그 어떤 수사도 할 능력이 없다는 방증"이라고 비판했다.

장 최고위원은 "슬쩍슬쩍 수사 기밀만 흘리면서 결론은 내지 않고 정치 놀음만 하는 것이라면, 공수처는 당장 문을 닫아야 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일각에서는 앞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공수처 수사 진행 상황과 무관하게 순직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제삼자 추천 방식의 특검법을 발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던 것과는 다른 기류 변화라는 해석이 나온다.

최근 당내에서 공수처 수사 결과가 나온 이후 특검법 추진 여부를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이를 의식한 행보로도 보인다.

한 대표는 채 상병 특검법과 관련해 "민주당은 한 손으로는 훨씬 위헌성이 강한 법안을 내놓고, 한 손으로는 제가 낸 대법원장 (추천) 특검을 받는다고도 했다. 그 진의가 뭔지 여러 생각이 있을 것 같다"며 "특히 열흘이니 하며 뜬금없이 시한을 거는 것은 본인들 입장과 맞지 않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는 "당내 많은 분의 의견을 듣고 논의하고 있다"며 "그 논의 과정에서 지금 상황에서 새로 드러난 제보 공작 부분까지도 (수사 대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도 듣고 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언주·한준호·김민석 최고위원, 이재명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전현희·김병주 최고위원.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언주·한준호·김민석 최고위원, 이재명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전현희·김병주 최고위원. 연합뉴스

민주당은 한 대표의 '제삼자 추천 방식 채상병 특검법'을 수용하겠다고 밝히면서 오는 26일까지 발의하라고 몰아붙이고 있다. 다만 제보공작까지 수사 대상 확대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 회의에서 "민주당이 제삼자 추천안도 대승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고 밝히자, 한 대표는 소위 '제보 공작' 의혹까지 수사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토를 달았다"며 "한 대표는 26일까지 조건을 달지 말고, 토를 달지 말고 특검법을 발의하기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한 대표는 당 대표 선거를 할 때는 제삼자 추천 특검을 해야 한다더니, 당선된 뒤에는 발을 뺐다. 이제 다시 추가 조건을 덧붙이며 갈팡질팡하는 태도가 안쓰럽다"며 "이게 한 대표의 화법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여당에서) 왜 자꾸 채상병 특검법에 조건을 갖다 붙이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조건을 붙이거나 단서를 다는 것은 결국 특검을 하지 말자는 얘기일 가능성이 크다. 진정성을 갖고 임해달라"고 언급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민주당이 김건희 여사까지 수사 대상으로 적시해 특검법을 낸 상태에서 한 대표의 제삼자 특검 추천안을 수용하겠다고 특정 시한까지 발의를 압박하는 것은 국민의힘으로서는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며 "정략적 의도가 다분해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