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일일 배추·무 300t이상 공급…대구농수산물도매 시장 일일 반입량 3.3배 규모
치솟는 채솟값의 안정화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팔을 걷어붙였다.
2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배추 소매가격은 지난 26일 기준 포기당 5천556원으로 집계됐다. 전주 대비 9.1%, 1년 전보다는 30.6%나 급등했다.
1개당 무 가격도 일주일 만에 5.9% 오른 2천856원으로 집계됐다. 1년 만에 31.0%나 올랐다. 특히 오는 9월 추석 명절을 앞두고 농가들이 배추와 무 출하하기 위해 심는 시기를 조정하면서 다음 달 출하 물량은 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는 공급을 늘리기 위해 시장에 배추와 무를 합쳐 300톤(t)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 이는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일일 반입량의 3.3배에 달하는 규모다.
또 앞으로 산지 작황과 수확작업 여건 등을 고려, 공급량을 조절한다.
상추의 경우 한때 주산지인 전북 익산과 충남 논산시 등의 침수 피해로 인해 가격이 급등했었다.
농식품부는 현재 주산지 농사 50%에서 상추를 다시 심는 등 복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면서 다음달 상순 이후 공급 여력이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일조량 부족으로 생육이 부진했던 오이·호박 과채류도 기상 여건이 좋아지면서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송 장관은 이날 농축산물 수급상황 점검회의를 통해 생육관리협의체를 수시로 가동해 재해피해 복구상황 및 병해충 방제 상황 등을 점검하고, 현장기술지원도 강화할 것을 당부했다.
송 장관은 기상 상황과 재해 피해 복구현황, 주요 농축산물의 도·소매 가격동향, 산지 작황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장관실 내에 농축산물 수급 상황판을 설치하고, 수시로 작황 등 농축산물의 공급 여건을 점검할 계획이다.
송 장관은 "기상 상황에 따라 작황을 예견하고, 사전에 대비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면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로 나타날 것"이라며 "보다 면밀히 농축산물 수급상황을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