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추값 일주일 새 56%↑…밥상 덮치는 '도깨비 장마'

입력 2024-07-21 16:53:12 수정 2024-07-21 18:30:43

장마에 상추 등 채소·과채류 줄줄이 올라…밥상물가 우려

장마철 침수 피해로 상추 등 채소와 제철 과일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밥상 물가가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21일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의 상추 등 채소 판매대. 연합뉴스
장마철 침수 피해로 상추 등 채소와 제철 과일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밥상 물가가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21일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의 상추 등 채소 판매대. 연합뉴스
[그래픽] 장마철 주요 과채류 인상률. 연합뉴스
[그래픽] 장마철 주요 과채류 인상률. 연합뉴스

지난 7일부터 시작된 장마철 침수 피해로 상추 등 채소와 제철 과일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밥상 물가가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일각에선 장마철 농산물 가격 오름세는 밥상 물가에 영향을 줄 정도로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21일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지난 19일 적상추 소매가격은 100g에 2천107원으로 1주일 만에 56.3% 올랐다. 이는 한 달 전의 891원보다 136.4% 비싸고, 1년 전보다 16.5% 높다. 2019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과 비교해도 48.5% 비싼 수준이다.

다른 채소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상추와 함께 대표적인 쌈채소인 깻잎은 100g에 2천550원으로 1주일 전보다 17.3% 올랐다. 이는 1년 전보다 11.7%, 평년보다 31.6% 각각 오른 수준이다.

시금치는 100g에 1천675원으로 1주일 전보다 17.5% 상승했다. 시금치도 평년보다 53.5% 오른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풋고추는 100g에 1천508원으로 1주일 전보다 12.3%, 1년 전보다 27.3% 각각 상승했다. 배추(한 포기·5천92원)와 열무(1㎏·4천404원)도 1년 전보다 각각 24.0%, 22.3% 올랐다.

일부 농가에서 침수 피해를 본 과채류 가격도 1주일새 상승세를 보였다.

수박은 1개 2만1천736원으로 1주일 전보다 3.5% 올랐다. 이는 평년보다 7.5% 오른 수준이다.

참외(10개·1만5천241원)는 1주일 전보다 13.9% 올랐고, 평년보다 5.6% 비싸다.

토마토(1㎏·4천799원)는 1주일 전보다 2.5%, 평년보다 14.1% 올랐다.

다만 수박과 참외, 토마토 가격은 1년 전보다는 각각 1.7%, 6.5%, 6.3% 떨어졌다.

일각에선 폭우와 폭염이 반복되는 '도깨비 장마' 등 이상 기후에 따른 불확실성에 채소 가격이 당분간 불안한 흐름을 지속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관계자는 "반복되는 폭우와 폭염에 채소 생육도 악영향을 받지만, 출하 작업 인력의 절대적인 작업 시간도 줄어든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이상 기후로 밥상 물가가 자극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장마철 잦은 호우는 생육 여건 악화, 병충해, 출하 작업 부진 등의 원인"이라며 "산지 출하가 불안정해지고 공급이 급감하면 가격이 올라 밥상 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