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값 인상 두고 팽팽한 줄다리기하는 유업계와 낙농가

입력 2024-07-17 17:57:21

낙농진흥회는 올해 원윳값을 결정하기 위해 10차례에 걸쳐 소위원회 회의를 진행했으나 아직 결론을 내지 못했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L당 26원까지 올릴 수 있다. 사진은 17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낙농진흥회는 올해 원윳값을 결정하기 위해 10차례에 걸쳐 소위원회 회의를 진행했으나 아직 결론을 내지 못했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L당 26원까지 올릴 수 있다. 사진은 17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 인상폭을 두고 유업계와 낙농가가 한 달 넘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17일 농업인단체와 식품업계 등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올해 원윳값을 두고 지난달 11일부터 16일까지 총 10회에 걸쳐 소위원회 회의를 진행했지만,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

올해 원윳값은 L당 26원까지 증액 가능하다. 원윳값 인상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조율한다.

원윳값은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기준으로 L당 1천84원인데, 협상 이후 최대 1천110원까지 오를 수 있다.

낙농진흥회는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조직이다.

낙농가는 현재 원윳값 인상, 유업계는 동결을 주장하면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유업체가 2025∼2026년 구매할 원유량을 조정하는 논의도 병행해야 한다"며 "일각에선 이번 협상은 타결까지 적어도 한 주는 더 걸릴 수 있다고 예상한다"고 했다.

원윳값 협상은 지난해 48일, 2022년 50일 동안 진행한 바 있다.

다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지속하는 가운데 이번 협상이 마무리돼 양측이 원윳값을 올리기로 하면 흰 우유 제품가격 인상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난해 원윳값이 L당 88원 오르면서 유업체들은 우유 제품 가격을 4~6% 올렸다.

원윳값 상승으로 아이스크림, 과자 등 우유가 들어간 제품의 가격이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업계 목소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고물가 상황에서 먹거리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원윳값 인상 폭을 최소화하도록 중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