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횡령 규모가 약 6년 동안 1천800억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이달(14일 기준)까지 발생한 횡령액은 총 1천804억2천740만원으로 집계됐다. 횡령액 중 환수가 이뤄진 금액은 175억5천660만원으로 환수율이 9.7%에 그쳤다.
최근 발생한 우리은행 100억원대 규모의 횡령은 포함되지 않아 실제 횡령액은 더 커질 수 있다. 우리은행은 횡령이 아닌 사기로 이번 사고를 분류·보고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횡령 규모는 은행이 1천533억2천800만원(85.0%·115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저축은행 164억5천730만원(9.1%·11명), 증권 60억6천100만원(3.4%·12명), 보험 43억2천만원(2.4%·39명), 카드 2억6천100만원(2명) 순이었다.
지난 2021년 이후 횡령 규모가 급격히 늘었다. 2018년 56억6천780만원, 2019년 84억5천870만원, 2020년 20억8천290만원 수준이었던 횡령액은 2021년 156억9천460만원, 2022년 827억5천620만원, 작년 642억6천70만원대로 불어났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