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11일 도청 실·국장 간부회의 통해 북부권 발전 전략 준비 지시해
예천군의회, 도내 기초의회 중 최초로 '행정통합 논의 중단' 입장 밝혀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도내 북부권의 '대구경북 행정통합' 반대 여론을 잠재울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할 것을 지시했다.
이 도지사는 11일 도청 실·국장 간부회의를 주재하면서, "기획조정실장이 중심이 돼 북부지역의 산업·관광·문화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구체적 활성화 방안으로는 안동 찜닭·갈비 골목 등을 경주의 황리단길과 유사한 관광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낙동강 수자원을 활용한 국가정원 조성 등을 지시했다.
경북도는 앞으로 과거 수립한 '북부권 GREAT 전략' 등을 토대로 도내 북부권 발전 계획을 공고히 해 나갈 계획이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처음 추진했던 2021년 3월 대구경북연구원(현 경북연구원)은 용역을 통해 북부권의 발전 방향으로 생명산업, 문화·관광·레저, 혁신산업, 교통·SOC 등 총 4대 분야로 정하고 34개 세부과제를 수립했다.
용역에는 도청신도시와 연계한 북부지역 발전 방향, 안동·영주·문경·예천 등 북부권 시·군별 제안(역점) 사업 등도 포함돼 있다.
이날 이 도지사가 언급한 '낙동강 수자원 활용 국가정원' 조성은 당시 용역에 반영된 ▷백두대간·낙동강 활용 생태치유 관광루트 개설(영주 등) ▷스마트 청정 공기산업 육성(예천) 등과 유사하다.

용역에는 이외에도 북부권에 산재한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인문콘텐츠 산업 육성(가칭 코리아 인문여행), TK신공항과 연계한 북부권 MICE 산업 스포츠 산업 육성 등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이 도지사는 도 간부들에게 "행정통합은 지방소멸을 면하고 살아남기 위한 선택"이라며 "대구의 집 팔아서 고향(경북)에 집을 지으면 양도세를 면제해주는 등 세제와 관련한 여러 가지 혜택도 검토하는 등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경북도의 북부권 발전 전략 수립 계획과는 별개로, 도내 기초의회 중 행정통합 관련 첫 반대 입장이 나왔다. 예천군의회는 통합 시 상대적으로 대구와 거리가 먼 북부지역이 소외될 것이라는 우려를 담은 현수막을 이날부터 도청 신도시와 예천읍 일대 등에 게시했다.
최병욱 예천군의회 의장은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대구에 있던 경북도청이 안동·예천으로 이전했다. 행정통합을 하면, 다시 이를 역행하는 것 아니냐"라며 "대구를 중심으로 행정·경제·문화 등 모든 것이 집중될 게 뻔하다. 도청 신도시 등 북부권은 결국 소외될 수밖에 없어 긍정적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오후 경북도의회 정례회 도정질문 답변에서도 이 도지사는 "미루면 더 이상 통합은 못한다"며 "균형발전이 가능하냐는 것과 중앙권한을 얼마나 가져올 것이냐가 행정통합의 최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전한길 "쓰레기"라 한 친구는 '조국 수호대'
'나 홀로 인용' 정계선 집 주소 확산…유튜버들 몰려가 시위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