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전대 앞두고…‘친명 헤게모니’ 굳히기 돌입

입력 2024-05-26 17:30:44 수정 2024-05-26 18:31:15

전당대회 이어 시도당위원장 선출 권리 당원 표 비중 강화 시도
당원 지지받는 친명계 당 장악력 강화…대표 연임론도 힘 실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 관련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 관련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원권 강화 작업에 나서면서 다수 당원의 지지를 받는 이재명 대표의 당 장악력 공고화를 비롯해 연임론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26일 민주당에 따르면 친이재명(친명)계 지도부는 당원 권한을 강화하기 위한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 시도당 위원장 선출 시 권리 당원 표 비중을 높이는 방안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시도당 위원장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 비중은 50대 50인 가운데, 권리당원 표 비중을 대폭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전당대회(전대)에서 권리당원 표 비중을 3배가량 늘렸고 시도당 위원장 선거까지 확대될 경우 당원 영향력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당원 다수가 이재명 대표를 지지하는 만큼 당원 영향력이 커지면 최근 당원 반발을 불러온 국회의장 후보 선출 결과처럼 의원들이 당심과 다른 선택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아울러 차기 지도부를 뽑는 8월 전대에서 권리당원 표 비중이 재차 상향 조정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제기된다. 앞서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전대 표 반영 비율을 '20대 1 미만'으로 재설정하면서도 구체적인 수치는 확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지난해 12월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전대 표 반영 비율을 '60대 1'(권리당원 60표가 대의원 1표와 같다는 뜻)에서 '20대 1 미만'으로 바꾼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전대를 앞두고 시도당 위원장 선출도 당원권이 대폭 강화될 경우 친명계로 넘어간 당내 헤게모니가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미 지난 총선 공천에서 비이재명(비명)계 인사들이 대거 컷오프되면서 22대 국회 당선인은 사실상 친명계가 다수를 점하는 가운데 견제 세력의 등장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본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원 영향력이 세질 경우 현재 다수의 지지를 받는 주류의 힘이 강해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 아니겠나"라면서도 "다만 물러섬 없는 강 대 강 대치, 정부 심판을 원하시는 게 당원의 목소리인 만큼, 민생 현안 등을 이유로 여야 협치를 언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