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안동' 밝히는 안동시의회] (중)자치분권·지역재생 연구회

입력 2024-05-22 09:40:01 수정 2024-05-22 19:06:12

주민 직접 낸 아이디어 기반…청년 정착·생태 관광 길 모색
지역소멸·인구감소·고령화 문제 해결 앞장

안동시의회 의원 연구 단체인 '자치분권 및 지역재생 연구회'는 성숙한 지방자치제도 구현과 지방분권의 종합적 추진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재생 방향 연구를 위해 공부하고 있다.

이 모임은 김호석 의원을 회장으로, 김새롬(간사), 김경도, 김상진, 김정림, 손광영, 이재갑, 임태섭, 정복순 의원이 활동하고 있다.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기위해 연구용역과 선진지 견학, 정책토론회 등을 열어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할 조례 제정 등에 나서고 있다.

안동시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안동시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자치분권 및 지역재생연구회'가 문경 둘리네 습지를 찾아 안동지역 사회 발전 모델 찾기에 나섰다. 안동시의회 제공

◆연구·토론·견학 등 통해 발전 모델 도출 노력

이 모임은 지난 1월 '안동시 주민자치회 정착과 활성화 방안 연구' 최종 보고회를 통해 주민자치회와 주민들의 자치회 참여 활성화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도출해 냈다.

2013년 주민자치회가 처음 시범 실시된 이후 10년이 지나는 동안 양적 성장과 형식적 전환에도 불구, 관련 근거법 부재로 인한 시범사업에 머물고 있지만 여전히 다원적 민주사회의 기본적 토대라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에따라 주민자치회 운영의 민주성 달성, 참여의 극대화, 지속가능한 주민대표 기관으로 성장 가능하게할 실질적 전환과 집중적 지원정책, 현장 중심의 실천적 경험을 기반한 학습 프로그램 운영 등 전략적·차별적 지원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이 밖에 '안동시 지역재생·활성화를 위한 빈집정비 제도개선 방안 연구'를 비롯해 '반려동물 보호 및 올바른 반려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마련하기도 했다.

특히, 지역소멸과 인구감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청년유출 어떻게 막을 것인가?'를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 '청년정책혁신, 지역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주제로 한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게다가 의성군 이웃사촌 청년시범마을 조성사업 및 반려동물 문화 관련 사례 견학,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및 파주형 마을살리기 정책 등 견학, 습지 보전·활용을 통한 생태 관광·소규모 도시재생 등 견학 등 선진지를 통해 안동 지역사회 발전 모델을 찾아 나서기도 했다.

안동시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안동시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자치분권 및 지역재생연구회'가 지역소멸과 인구감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청년유출 어떻게 막을까?'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가졌다. 안동시의회 제공

◆지역소멸·인구감소·고령화 등 사회문제 해결 노력

'안동시의회 자치분권 및 지역재생연구회'는 '안동시 민간위탁 타당성 검토연구 용역'을 통해 안동시 민간위탁 운영의 적합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자료로 활용하는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

연구를 통해 안동학가산온천·계명산자연휴양림·단호샌드파크캠핑장은 수익성이 담보되고, 낙동강생태학습관·백조공원·마애선사유적전시관은 단순 관리 시설인 만큼 민간위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 분석하기도 했다.

연구회는 인구 고령화·과소화에 따라 관리되지 않고 방치된 빈집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주민들이 직접 지역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진정한 주민자치의 실현을 위한 정책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특히, 지역소멸과 인구감소를 위한 토론회에서는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 추현호 위원이 '청년비전 창업펀드를 만들자'라는 주제 발표와 지역의 청년, 안동시의회 자치분권 및 지역재생 연구회 위원 등이 참여한 정책토론회를 통해 청년 유출을 방지하고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회는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과 동물복지 인식 확산을 위해 의성군의 반려동물문화센터를 찾아 벤치마킹하고,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의 확산과 동물의 생명·안전 보호 및 복지 증진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

김호석 회장은 "안동시의 인구는 2025년에는 15만명선이 무너지고, 2040년에는 13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소멸 위기 상황에서,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특단의 조치를 고민해야 한다"며 "지역사회의 긍정적 발전과 시민사회 성숙된 의식을 위한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를 내 놓을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