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물가지수 4.1%↑·수입물가지수 3.9%↑
지난달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우리나라 수출·수입 제품의 전반적 가격 수준(원화 환산 기준)이 나란히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 통계에 따르면 4월 기준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2.17로 3월(126.94)보다 4.1% 상승했다. 수출물가지수는 넉 달 연속 올랐으며, 4월 증가율(4.1%)의 경우 지난 2022년 3월(6.2%)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6.2% 높은 수준으로, 역시 넉 달 연속 증가세다.
품목별로 3월과 비교해 컴퓨터·전자·광학기기(7.3%), 화학제품(3.3%) 등이 수출 물가를 끌어올렸다. 반면 농림수산품은 2.5% 하락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D램(16.4%), 플래시메모리(11.4%), 휘발유(9.2%), 자일렌(6.1%) 등이 크게 올랐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환율은 1,367.83원으로 전월 대비 2.8% 올랐다. 환율효과를 제한한 계약통화 기준 수출 물가는 전월보다 1.6% 상승했다.
4월 수입물가지수는 143.68로 3월(138.31)보다 3.9% 올랐다. 수입물가지수도 넉 달 연속 상승했으며, 증가율은 지난해 8월(4.1%) 이후 가장 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9% 높은 수준으로, 석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용도별로 보면, 원재료는 국제 유가 상승 영향으로 광산품(5.6%) 등이 오르면서 전월보다 5.5% 상승했다.
국제유가는 3월 평균 배럴당 84.18달러(두바이유 기준)에서 4월 89.17달러로 5.9% 뛰었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6.2%), 컴퓨터·전자·광학기기(5.6%) 등이 올라 전월보다 3.7%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는 환율 상승 등 영향으로 각각 전월 대비 1.9%씩 올랐다. 세부 품목에서는 커피(14.6%), 동정련품(12.4%), 알루미늄정련품(12.5%), 액정표시장치용부품(7.8%), 산업용액체펌프(10.8%) 등의 상승 폭이 컸다. 환율효과를 제한한 계약통화 기준 수입 물가는 전월보다 1.4%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권오을 보훈장관 후보자, 반환해야할 선거비 2.7억 미납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