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만 지음/미네르바 펴냄
"팔십여 년 눈비에 깊숙이 젖어버린 삶, 언제쯤 활짝 개어 꿈인 듯 내다 말릴까. 하늘도 어쩌지 못해 보고만 계신 걸까. 이젠 모두 잊고 담담히 걸어가야겠다."('시인의 말')
시인은 지나간 시간의 깊이를 복기하면서 현실세계와 이상세계를 아우르는 적빈(赤貧)과 청아(淸雅), 적요(寂寥)의 시세계를 적시하고 있다. 긴 세월 걸어온 발자국에 찍힌 허무를 주워 만지작거리다 그 허무를 새로운 의미로 재생시키는 식이다.
"끙끙 앓는 소리라도 내 보렴/ 살아있다는 건 숨 쉬는 것/ 존재 증명이란 죽기보다 더 어렵다."(시 '생존연습' 중)
인생을 살아간다는 것은 힘든 여정을 끝까지 내려놓지 않는 데에서 진정한 삶의 의미가 부여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생존의 힘은 그저 존재하는 일 그 자체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음을 강조한다.
"한 번 보고 두 번 봐도/ 그러 다 피고 지는/ 그냥 그런 꽃이지만/우리 여기 머무름도/ 그중 그런 꽃 하나라네."(시 '그런 꽃')
시인은 무언가 소진돼버린 빈 공간에서 새로 돋아나는 가치를 낚아 올려내는 혜안을 가졌다. 고달팠지만 결코 헛되지 않았을 인생이 한구석에 감춰져 있다 희망과 사랑의 이름으로 들춰져 보여지고 있다. 124쪽, 1만2천원.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직무 복귀 vs 조기 대선…4월 4일은 尹대통령 '운명의 날'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