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 일부 국민의힘 후보들이 무성의한 선거 유세(매일신문 3월 31일 보도)로 당 텃밭 지역민을 무시하고 있다는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1일부터 각 세대에 일제히 배부되고 있는 선거공보물마저도 각종 짜깁기에 날림 공약으로 채워져 유권자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날 우편함에서 선거공보물을 받아 든 대구시민들은 집권여당 후보의 공약이 '수준 이하'였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지난달 우선 추천(전략공천)과 국민추천 프로젝트로 '깜짝' 공천을 받은 김기웅(중구남구)·최은석(동구군위갑)·우재준(북구갑) 후보의 경우 선거 준비가 턱 없이 부족했음이 선거공보물을 통해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지적이다.
또 함께 동봉된 야당 및 무소속 후보들의 선거공보물이 지역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공약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시민 최모(34·방촌동) 씨는 "여당 후보 공약이라고 써 놓은 것들 대다수가 어디서 본 기억이 있는 것들인데 다가, 소위 뜬구름 잡는 말도 장황하게 써놓았기에 대충 훑어보고 치웠다"고 말했다.
일부 공약은 기초·광역의원들의 지방선거 공약과 판박이고, 컷오프(공천 배제)된 현역 의원의 4년 전 공약과 큰 차이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최은석 국민의힘 후보가 첫 번째 공약으로 앞세운 'K-2 후적지, 휴노믹시티 건설'은 류성걸 의원이 지난 2020년 21대 총선에서 1호 공약으로 내세운 것과 사실상 유사하다. 또 경부선 철도 지하화, 동북부 순환선 신설, 금호강 강변도로 건설 등 재원 마련 방안을 전혀 제시하지 않은 공약(空約) 우려가 나오는 공약들도 상당수였다.
김기웅 국민의힘 후보는 2022년 지방선거 당시 김동현 중구의원 후보가 공약한 'CCTV 설치 확대'를 이번 총선 공약으로 제시했다. 또 오는 7월 지정이 유력한 '동성로 관광특구'를 공약으로 발표한 한편, 미군기지 및 시청부지 후적지 개발과 관련해 '적극 추진', '원만한 해결' 등의 용어만 사용하며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시민 김모(58·대명동) 씨는 "김기웅 후보 선거공보물에서 사진이 전체의 반절이니 말 다했다"며 "유권자 무시가 도를 넘었다. 공천만 받으면 다 찍어주니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재준 국민의힘 후보는 도시정비사업의 원활하고 합리적인 추진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재건축·재개발 규제요건 '완화'를 '강화'로 오기한 선거공보물을 유권자에게 배부하는 실수도 저질렀다. 또 경북도청 후적지 개발, 대구도시철도 4호선 착공, 금호워터프런트 조성 등 이미 진행 중인 사업을 자신의 공약으로 그대로 가져왔다.
전문가들은 태업 논란이 일고 있는 선거구들이 모두 전략 공천 대상이었다는 데 주목한다.
엄기홍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낙하산 공천의 폐해다. 선거를 한 달 앞두고 공천받은 후보가 지역 현안과 정책을 숙지할 수 있겠느냐"며 "무성의한 선거 유세와 짜깁기 선거 공약은 유권자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선거구 국민을 대표하는 지역 대표성도 훼손시킨다"고 말했다.
다만 TK 여당 후보 전체가 이번 총선을 태업하는 건 아니라는 반론도 상당하다. 일부 후보 개인의 문제이지 TK 정치권 전체를 싸잡아 비판하는 것은 선량(選良)으로 평가받는 다른 후보들의 사기를 저하시킨다는 설명이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국힘 지지층·무당층' 선택은? 김문수 29.2% 홍준표 21.4% 한동훈 20.9%
TK 향한 대형 신규 사업 나올까…李, 공약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