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 이직을 커리어 관리로 생각해"
직장인 10명 중 6명은 더 좋은 회사로 이직 등 이유로 입사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조기퇴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남녀 직장인 981명을 대상으로 조기퇴사 및 장기근속 경험을 주제로 설문을 시행했다.
먼저 잡코리아는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에게 '입사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 퇴사를 해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질문했고, 66.1%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1년 이내 조기 퇴사한 이유(이하 복수응답)로는 '더 좋은 곳으로 이직하기 위해 조기 퇴사를 감행했다'는 의견의 응답률이 34.9%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일과 삶의 불균형(29.8%) ▷입사 전 제시 받은 직급과 처우 등의 조건이 입사 후 달라져서(25.5%) ▷함께 일하는 상사 및 동료와 잘 맞지 않아서(22.7%) ▷기업문화가 나와 잘 맞지 않아서(17.6%) 등 이유가 뒤를 이었다.
1년 이내 조기 퇴사를 후회했다는 응답은 30.7%였으며, 후회했던 가장 큰 이유는 '1년 미만 업무 경력을 이력서 등에서 활용하지 못해서(43.7%)'가 차지했다.
설문 조사 참여 직장인 중 한 회사에서 5년 이상 근속한 경험자는 36.8%였는데, 오래 근속한 이유로 '어쩌다 보니 이직할 기회를 놓쳐서'라는 응답이 35.5%로 가장 많았다.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좋아서(35.2%)', '연봉과 인상률이 만족스러워서(21.6%)'라는 응답도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5년 이상 근속한 직장인 중에는 장기근속을 후회하는 직장인도 상당했다. 5년 이상 근속 경험자 중 46.8%가 '한곳에 오래 근무한 것을 후회한다'고 답했고, 이유는 '안정적인 곳에 익숙해져 새로운 곳을 갈 엄두가 나지 않는다(50.3%)'가 가장 컸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이제는 이직을 커리어 관리로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잡코리아는 인공지능(AI) 인재 매칭 서비스 '원픽'을 선보였다"며 "최근 원픽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