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신학기, '제대로' 공부하는 방법 익히는 게 중요
자투리 시간·메타인지 활용, '진정한' 공부 시간 확보

3월 첫날. 10분 정도 시간이 남아 자습을 하라고 시간을 줬더니 한 녀석이 말한다.
"선생님, 배운 게 없어서 공부할 게 없는데요?"
자투리 시간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한참을 설명했다. 이럴 때마다 느낀다. 공부 내용뿐만 아니라 공부 방법에 대한 과목도 따로 개설해서 가르쳐야 하는 것이 아닌지. 10분의 시간을 주고 스스로 공부하는 모습을 보면 이 학생은 어떤 학생인지 바로 파악할 수 있다.
미처 못 외웠던 영단어집을 꺼내 암기를 시작하는 학생, 늘 갖고 다니는 책을 꺼내 읽는 학생, 앞으로 배울 교과서를 꺼내서 본문을 구경하는 학생 등 자습 방식도 제각각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자투리 시간이라도 소중하다는 사실을 안다는 것이다.
중학교에서는 아침마다 자습 시간이 10~20분 주어진다. 이 시간을 5일 모으면 결코 적은 시간이 아니다. 1주일, 1달, 1년이 모이면 그 시간의 중요성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자투리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공부하면 자연스럽게 집중력과 성실한 태도도 기를 수 있다. 매일 짧은 시간 안에 지속적으로 무언가 꾸준히 해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해마다 내가 만나는 학생들에게 자투리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메타인지를 잘 활용하자
나는 쪽지 시험을 칠 때 학생들에게 1가지를 더 적으라고 하는데, 바로 자신이 예측한 자신의 점수이다. 그러면 놀랍게도 상위권 학생들은 자신의 성적을 잘 예측한다. 그만큼 메타인지가 발달한 것이다.학생 대부분은 그저 교과 내용을 공부하기에만 급급하지 자신이 그 내용을 아는지 모르는지는 잘 체크하지 않는다.
"선생님, 이거 잘 모르겠어요."
"그래, 어느 부분을 모르겠어?"
"음... 다요. 아니오, 1번까지는 이해했는데 2번부터는 잘 이해가 안 가요."
"그럼 1번 내용을 말로 풀어서 설명해 볼래?"
보통 이렇게 얘기하면 1번 내용조차 잘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그 내용을 아는지 모르는지조차 모르는 것이다. 그러다가 나에게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다시 자리로 돌아간다.
이렇게 내용을 상대방에게 설명해 줄 수 있도록 공부해야 한다. 특히 본인보다 더 어린 동생에게 가르쳐준다고 가정하고 설명하면 좋다. 이 과정에서 본인의 이해 여부도 점검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쉬운 다양한 사례를 찾으면서 교과 내용이 더 단단하게 내 것이 된다.
그래서 나는 국어 수업을 할 때 수업 시작 직후 5분, 수업 종료 직전 5분을 자신의 인지 여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 시작 직후 5분 동안은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 중 기억나는 3가지를 적도록 하고, 수업 종료 직전 5분 동안은 그날 배운 내용 중 기억나는 3가지를 적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맞고 틀리고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틀리더라도 자신이 잘 모르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는 것이 가장 큰 수확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음을 알고 해당 부분을 다시 찾아서 공부한다. 수업 시간이 아닐 때도 이렇게 메타인지를 활용하면서 공부해야 제대로 학습할 수 있다.
◆진정한 공부 시간을 확보하자
학생들에게 자신의 하루 공부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고 물어보면 학교 수업을 듣는 시간과 학원 간 시간을 죄다 계산하는 경우가 많다. 정말 수업을 들으면, 학원에 가면 공부를 하는 게 맞는 것일까? 수업 중 교사가 설명하고 그 설명을 멍하니 듣고 있었다면 그 시간 중에 가장 밀도 높은 공부를 한 사람은 학생이 아니라 교사이다. 실제로 반을 바꿔가며 수업하다 보면 맨 마지막 반 수업이 가장 마음에 들곤 한다. 설명할수록 더 이해하기 쉬운 예를 찾으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
수업을 들었다면 자신만의 정리 시간을 가져야 한다. 내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지식은 자신의 것이 아니다. 내 머릿속에 들어가서 내 말로 다시 인출될 수 있는 공부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쓰이는 시간이 '진정한 공부 시간'이다. 누군가 설명하는 내용을 멍하니 듣고 있을 때에는 그다지 큰 에너지가 들지 않는다. 그런데 그 내용이 나를 통과해 내 말로 누군가에게 설명해야 할 때, 혹은 글을 써야 할 때에는 전혀 다른 상황이 펼쳐진다. 무진장 많은 에너지가 들어간다.
나는 학생들에게 누군가에게 설명할 수 있도록 하라며 공부할 시간을 주고 발표를 시켜본 후 방금 두뇌를 쓴 느낌을 잘 기억하라고 말한다. 머리가 그만큼 활동할 때만이 제대로 공부한 시간이라는 설명을 덧붙이면서. 그러면 많은 학생들이 놀란다. 그냥 가방만 들고 왔다 갔다 한 시간은 공부 시간으로 안 쳐준다니 야박하다고 느끼기도 하고 허탈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공부하지 않으면 진정으로 자기 머릿속에 남는 것은 없다.
반드시 자신만의 진정한 공부 시간을 확보하고 그 시간을 차차 늘려가는 것이 제대로 공부하는 방법이다.
교실전달자(중학교 교사, 조운목 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