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전공의 집단행동 대비 비상진료대책 회의 개최

입력 2024-02-20 14:27:07

의료 공백 예방 위해 비상진료대책상황실 운영

지난 19일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부산시 관계자들이 전공의 집단행동 관련 비상진료대책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지난 19일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부산시 관계자들이 전공의 집단행동 관련 비상진료대책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부산시는 17일과 19일 시청에서 이준승 행정부시장 주재로 전공의 집단행동에 따른 비상진료대책회의를 잇따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회의를 통해 시는 병원 상황과 대처방안, 전공의 공백에 따른 환자 진료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집중적으로 논의했으며, 최근 의료계 동향뿐만 아니라 현재 시의 비상진료대책도 함께 공유했다.

17일 1차 회의에는 지역 내 대학병원장들과 부산의료원장이 참석했으며, 19일 2차 회의에는 종합병원장들과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들이 자리했다.

이 부시장은 이날 병원장들에게 응급·중환자·수술·투석 등 필수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병원별로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해 시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전공의 사직 등 의료계 집단행동이 장기화되는 경우 시민의 안전과 건강이 위협받을 수 있기에 각 의료기관에서 진료 안정화를 위해 힘써 줄 것을 요청했다.

참가자들은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대학병원뿐 아니라 종합병원, 소방재난본부의 역할, 그리고 중등증 환자 등에 대한 진료 분산과 적절한 환자 이송 협조가 중요하다고 인식을 함께했다.

한편, 시는 의료 공백을 예방하기 위해 시 보건의료 분야 위기관리 행동 매뉴얼에 기반한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의료계 집단행동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6일부터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을 운영하며 의료계의 동향 등을 파악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공공의료기관 4곳과 수련병원 18곳에 비상진료대책 수립·시행을 요청하고, 의료 공백이 발생하는 경우 의료기관과 응급의료기관이 마련한 비상진료대책 시행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시민의 의료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문 여는 의료기관 정보를 시와 구·군 누리집 등에 안내할 예정이다.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의료계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공공의료기관과 대학병원, 종합병원 등에 비상진료 협조를 구했다"며 "전공의 등도 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집단행동을 자제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