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단특집] 구미국가산단, 대대적인 재편으로 '산업혁신' 중심으로 비상

입력 2024-02-22 06:30:00

반도체, 방산, 2차전지 등 '산업단지 혁신' 기반 구축
'구미 공단 도시재생 혁신지구' 조성사업도 추진
산업집적법 개정으로 구미국가산단 재편 가속도 붙어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구미시 제공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국가산업단지는 지방산업단지가 겪는 문제를 해결하고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대대적인 재편에 돌입한다. 구미국가산업단지 재편으로 산업생태계와 미래 50년을 이끌어 갈 튼튼한 첨단산업 기반이 구축될 전망이다.

내륙 최대 규모 산업단지로 불리는 구미국가산업단지는 한반도 허리 경제권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구미국가산업단지는 국가경제발전과 산업화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오며 살아있는 대한민국의 산업 역사의 현장이자, 미래 동력 산업 및 첨단산업을 이끌어 갈 전초기지로 여겨진다.

국가 경제의 버팀목이 됐던 구미국가산업단지도 최근 대기업의 국외·수도권 이전, 단순 제조 기능의 집적화, 기반 시설과 지원시설의 부족 및 노후화, 청년 인력 부족 등 지방산업단지가 겪는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다.

이에 구미시는 지난해부터 산업단지를 반도체, 방산, 2차전지 등 첨단산업 구조로 전환하는 재편 작업에 속도를 올리며 산업단지 재도약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 미래 50년을 이끌어갈 반도체와 방산 등 차세대 전략산업을 발굴하고 기반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맞췄다면 올해는 '산업단지 혁신'의 새로운 기반을 준비한다는 것.

최근 시는 첨단산업 육성 기반 구축에 역점을 두고 '방산혁신클러스터','반도체소재·부품특화단지' 등 대형 국책프로젝트를 유치하면서 산업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 SK실트론의 반도체 웨이퍼 생산시설 관련 1조2천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2차전지, 전장부품, 첨단 신소재 등 다양한 산업에서 217개 사 총 2조1천억원 투자 유치를 이끌어 내며 첨단산업으로의 전환에 첫발을 내디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울러 구미국가산업단지 개편의 일환으로 '구미 공단 도시재생 혁신지구'(이하 공단혁신지구) 조성사업도 추진된다.

시가 지난해 12월 공단혁신지구 조성사업 시행계획을 국토교통부, 경북도로부터 최종 승인 받으면서 급변하는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이 가능해졌다.

시는 조성사업을 통해 산업단지 내 지원시설 용지공급과 산업고도화를 위한 재생 인프라 구축, 산업생태계 회복을 위해 산업 융복합 혁신지구(기업 성장센터, 혁신지원센터), 근로상생복합지구(통합 공공임대주택), 산업·문화 융합지구(박물관, 산단어울림센터), 의료·헬스 융합지구(산단헬스케어, 공유 오피스텔) 등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 지난 1월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이하 산업집적법) 개정안의 국무회의 의결도 구미국가산업단지 재편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번 개정안으로 그동안 산업단지 개발을 막아왔던 킬러 규제가 완화되면서 노후 산단 내 민간기업의 투자가 촉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산업단지 관리 권한이 지방에 부여되면서 구미시가 주도적으로 산단의 전환과 차별화된 발전 전략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산업집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경직적인 입주업종 제한 유연화 ▷비수도권 산업단지 내 공장 등 자산유동화 허용 및 입주기업의 자금조달 수단 다양화 ▷산업단지 재개발 절차 간소화 등 16개의 산업단지 관련 규제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산업단지를 기반으로 발전한 구미시가 첨단산업 도시로의 전환을 꾀하는 중요한 시기에 직면했다"며 "앞으로 차별화된 구미만의 발전 전략 수립을 통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미래를 선도하는 산업혁신 성장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구미 공단 도시재생 혁신지구 조감도. 구미시 제공
구미 공단 도시재생 혁신지구 조감도. 구미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