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의대 "비현실적 증원…교육 시설·교수진 감당 안돼"

입력 2024-02-06 18:08:20 수정 2024-02-06 20:58:25

"정부 준비없이 성급하게 결정, 구체적 발표 때까지 지켜볼 것"

경북대 의대 전경. 경북대 의대 제공
경북대 의대 전경. 경북대 의대 제공

의대 정원 확대 규모가 발표되자 대다수 지역 의대 관계자들은 예상보다 큰 규모에 난색을 표했다.

김성호 영남대 의대 학장은 "복지부는 자신들이 말한 규모대로 정원이 늘어나면 현장에서 교육이 제대로 될 것이라 생각하는가"라며 "교육의 질은 당연히 하락할 것이고 이로 인해 국민건강 또한 제대로 담보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의대 학장과 교수들은 정부의 입장을 이해하더라도 2천명이라는 규모는 비현실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2025학년도부터 50% 이상 늘어난 학생들을 가르치려면 현재 시설과 교수진으로는 감당이 안 된다는 게 주된 내용이다.

현재 보유한 시설과 기자재로도 학생들을 교육하기 빠듯할 지경인데 복지부의 발표안대로 늘어나면 모든 것이 태부족한 상태에서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대구 한 의대 교수는 "복지부 발표대로 정원이 늘어나면 의대 강의실이 40~50년 전 초등학교 '콩나물시루' 교실처럼 변할 것이 뻔한데 과연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지겠는가"라며 "교수진 등 인적 자원은 고사하고 물리적인 교육 시설 자체가 안 돼 있는데 정부가 너무 성급하게 밀어붙였다"고 지적했다.

대구의 또 다른 의대 교수는 "2025년에 입학한 학생들이 본과에서 공부를 시작하게되는 2년 동안 시간이 있고, 올해까지 합치면 3년이 있다는 건데 그 안에 교육 시설 등을 다 마련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한편 각 의대가 소속된 대학본부 또한 고민에 빠졌다. 일부 대학은 "기반 시설이 충분하니 대비가 가능하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대다수 대학들은 "정부가 구체적인 규모를 발표할 때까지 지켜보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임상규 경북대 교무처장은 "현재 교육 시설 등에는 여유가 있는 상황이라 판단하고 있어서 인원이 배정되는 규모에 따라 분반 등을 고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