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이지 않는 소방관 순직…화재진압장비·처우 개선은 언제쯤?

입력 2024-02-01 18:18:10 수정 2024-02-02 10:56:20

1일 경북 문경 공장화재 인명수색 나선 구조대원 2명 사망
"희생 줄이려면 고가장비 도입하고 현장 매뉴얼 개선해야"
공상자 간병비도 15년째 제자리걸음

1일 오후 문경시 한 장례식장에서 공장 화재 현장에서 구조활동을 하다 순직한 구조대원의 빈소로 근조화환이 들어가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1일 오후 문경시 한 장례식장에서 공장 화재 현장에서 구조활동을 하다 순직한 구조대원의 빈소로 근조화환이 들어가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과정에서 소방관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진압장비 및 처우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 역시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속도감 있게 개선대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경북 문경의 한 육가공업체 화재 현장에서 인명구조 활동을 위해 진입하다 매몰된 구조대원 김수광(28) 소방교와 박수훈(36) 소방사가 숨진 채 발견됐다. 이들은 지난 31일 오후 7시 47분쯤 화재 진압과 인명 수색을 위해 공장 내부로 진입한 후 불길이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건물 밖으로 대피하려다 건물 내부가 무너지며 고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2월 1일에는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의 한 주택 옆 창고에서 불을 끄던 임성철(29) 소방장이 무너진 건물 잔해에 부상을 입고 숨졌다. 앞서 같은해 3월에도 전북 김제시에서 단독주택 화재를 진압하던 성공일(30) 소방교가 집주인을 구하려다 순직했다.

반복되는 비극 속에 효과적인 진화작업을 위해 장비구매예산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일례로 공장화재 등에서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무인파괴방수차 같은 특수장비 도입 확대 현안이 대표적이다.

무인파괴방수차는 강철 소재의 파괴기를 통해 철판과 콘크리트 등을 뚫고 다량의 물을 주입해 화재를 진압하는 첨단 특수장비다. 지난해 6월 기준 전국에 29대가 운용 중이지만 대구경북에서는 경북이 2대를 보유하는 데 그쳤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소방의 날 행사 당시 "소방관 안전 장구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제공하라"고 행정안전부와 소방청에 지시하기도 했으나, 대구의 경우 지난해를 끝으로 소방안전교부세 중 소방 분야 투자 특례조항이 사라져 관련 예산 확보가 어려운 상태로 알려졌다.

위험지역으로의 소방대원 투입에도 보다 조심스럽게 임하고 관련 매뉴얼 개선 및 교육 강화 역시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저연차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실화재 훈련 등 교육을 강화하고,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의 건물 내 투입이 보수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다.

최영상 대구보건대 소방안전관리학과 교수는 "소방관들의 안전 역시 중시할 수 있도록 붕괴위험이 있거나 규모가 큰 화재는 소방관의 내부진입이 불가하다고 여기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이 같은 순직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급급하게 후속대책을 마련할 것이 아니라 소방청과 국립소방연구원 등에서 중장기적으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이 문제를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순직 소방관뿐만 아니라 부상 소방관에 대한 처우 개선도 짚어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화재나 재난사고 현장에서 공상을 당한 소방관은 전국적으로 2013년 316명에서 2022년 1천80명으로 10년 새 3배 수준으로 늘었다.

대구에서도 2021년 33명, 2022년 54명, 2023년 63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에게 지급되는 간병비 등 요양급여는 하루 최대 6만7천140원으로 15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소방청은 이번 사고 추모와 장례절차가 마무리 되는대로 정확한 경위를 파악해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순직 사고마다 경위가 다 달라 대책에도 차이가 있다"며 "공상자 간병비의 경우 현재 인사혁신처에서 인상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