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뜰리에 in 대구] 임영규 조각가 “모든 생명은 빛이라는 희망을 향해 뻗어나가는 존재”

입력 2024-01-07 13:36:45 수정 2024-01-07 18:16:16

하늘 향해 뻗어나가는 ‘빛으로부터’ 작업
“생명의 시작, 빛을 향해가는 ‘끝’에서부터”

자신의 작업실을 배경으로 선 임영규 작가. 이연정 기자
자신의 작업실을 배경으로 선 임영규 작가. 이연정 기자
경산 남산면에 자리한 임영규 조각가의 작업실
경산 남산면에 자리한 임영규 조각가의 작업실 '거인조각연구소'. 이연정 기자

복숭아밭, 포도밭이 넓게 펼쳐진 경산 남산면의 도로를 따라가다보면 문득 만나는 '거인조각연구소'. 조각가 임영규가 17년 째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작업 공간이다.

공장인가 싶을만큼 층고가 높고 커다란 조립식건축물에 '연구소' 간판이라니. 누구든 호기심에 눈길을 줄 만한데, 그보다 더 눈에 띄는 건 지붕 위에서 포효하는 호랑이 한 마리다. 2010년 호랑이해, 울산 간절곶에 설치했던 호랑이 작품이다.

"별 생각 없이 올려뒀는데, 마침 남산면 인근 대왕산에 호랑이가 살던 굴이 있었고, 호랑이를 상징처럼 생각하는 지역이더라고요. 주민분들이 참 좋아해주셔서 남산면 초입에 놓인 호랑이 조각품까지 만들게 됐습니다. 하하."

그는 영남대 대학원 재학 당시 전국 대학·대학원생 조각대전에서 대학원생 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여왔다. 당시에는 인체를 해제한 뒤 재조합해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는, '몽상' 시리즈를 작업해왔다.

하지만 대학원 졸업 이후 의뢰 작품 작업으로 바쁜 그에게 철을 재료로 한 작업은 부담이었다. 보존에도 한계가 있어 좀 더 물성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작업의 변화를 꾀했고, 기성품을 조합해 만든 '오공의 외출'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스로를 재주 부리는 원숭이 '오공'에 빗대, 익살스러운 모습의 작품들을 만들어냈다.

그러던 중 그의 첫 아이가 태어났다. 그는 그 순간을 지켜보며 평생 느껴보지 못한 미묘한 감정과 기쁨, 울컥함을 느꼈다. 자신에 대한 얘기 위주였던 작업이 '생명'이라는 주제로 향하게 된 순간이었다.

그는 "그러한 감동을 경험한 뒤, 생(生)이라는 근본적인 것에 대한 고민을 이어갔다"며 "식물이 전구의 빛 방향을 따라 생장하는 '양성굴광성' 실험이 인상 깊었다. 결국 모든 생명은 본능적으로 빛을 향해서 나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이르게 됐다"고 말했다.

대구 서구문화회관 앞에 설치된 임영규 조각가의 작품. 동이 틀 때나 질 때, 길게 늘어지는 그림자 같은 형상이다. 임영규 작가 제공
대구 서구문화회관 앞에 설치된 임영규 조각가의 작품. 동이 틀 때나 질 때, 길게 늘어지는 그림자 같은 형상이다. 임영규 작가 제공
임영규 조각가의 작품은 빛을 향해 생장하는 풀, 나무의 모양새와 닮아있다. 임영규 작가 제공
임영규 조각가의 작품은 빛을 향해 생장하는 풀, 나무의 모양새와 닮아있다. 임영규 작가 제공

그렇게 탄생한 '빛으로부터' 시리즈는 대부분 하늘을 향해 몸을 펼치고 쭉 뻗어나가는 형태를 하고 있다. 직선과 곡선의 아름다운 조형미와 역동성이 먼저 눈에 들어오고, 길게 뻗은 손 끝, 발 끝에서 느껴지는 어떤 간절함으로 마무리된다.

"어떻게 보면 빛은 살아있는 모든 것의 희망이지 않을까요. 빛을 향해가는 그 끝에서 작품의 역동성, 생기가 발현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는 대학 때 로댕이 남긴 '조각은 볼륨이고, 볼륨은 그 끝에서 시작된다'는 말을 본 게 얼핏 기억난다고 말했다. 그 때도 지금도 정확한 의미는 모르겠지만, 결국 끝이 생의 방향을 이끌어가는 시작이라는 지금의 생각과 비슷한 게 아닐까 싶다고.

임 조각가는 예전에는 과장된 형태를 통해 뭔가를 보여주고자 하는 욕구, 임팩트가 있어야한다는 생각이 있었다면 이제는 좀 더 평범하게 우리 주변의 사람들을 표현해내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눈이 보는 것을 손이 속이지 않게 해달라'는 글을 본 적이 있다. 뭐든 숙달되면 손이 기교를 부리게 된다"며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느낀 것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게 노력하려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