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미래차+배터리 클러스터'로 글로벌 혁신특구 이달 2차공모 재도전

입력 2024-01-04 17:34:15 수정 2024-01-04 19:55:27

지난해 신청한 포항 중심서 확장, 전기차 부품산업 주력 시군과 연계해 신기술 및 표준 개발 전략
안동시 중심 헴프 글로벌 혁신특구 병행 신청도 검토…윤 정부 지방시대 4대 특구 신규·추가 유치도 총력

지난해
지난해 '배터리 기술 초격차 선도도시 포항 POBATT 2023' 컨퍼런스에서 2차전지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식 후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경상북도가 정부 글로벌 혁신특구 공모에 여러 시군을 아우르는 '미래차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클러스터로 재도전한다. 동시에 지방시대 4대 특구(기회발전, 교육발전, 도심융합, 문화)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 민간 투자 기반 지역발전을 극대화한다.

경북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이르면 이달 중 추가 공모하는 '글로벌 혁신 특구'에 '미래차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글로벌 혁신특구' 기획으로 재응시할 방침이라고 4일 밝혔다.

경북도는 지난해 공모에서 포항시를 중심으로 한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글로벌 혁신특구' 신청서를 냈으나 고배를 마셨다. 중기부가 막판에 2차전지 분야 특구를 후순위로 미룬 데다, 경북도와의 면담에서 '포항시 한 곳만으로는 경쟁력이 약하다'는 언급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도는 2차전지 배터리 핵심 사용처인 미래차 관련 산업까지 끌어안기로 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현재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전기차·배터리를 생산하는 업체에 배터리 재활용·재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글로벌 혁신 특구가 혁신기업의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세계시장 표준을 선도하는 데 무게를 두는 만큼, 국내에서도 해외 사례를 참조해 산업 기반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국내에서도 몇몇 기업이 전기차 및 부품 테스트에 쓴 2차전지 배터리를 재활용하고 있다.

포항시 2차전지종합관리센터 전경
포항시 2차전지종합관리센터 전경

클러스터에 포함하고자 검토하는 시군은 ▷포항시(2차전지 양극재) ▷구미시(전기차 전장 및 배터리) ▷경주시(전기차부품) ▷경산시(전기차 무선충전 및 미래차 생산) ▷영천시(전기차부품 및 인조흑연) ▷김천시(자율주행 및 스마트그린물류) ▷상주시(2차전지 음극재) ▷봉화군(흑연 리사이클링 및 구리 제련) 등이다.

동시에 안동시를 중심으로 한 헴프(산업용 대마) 글로벌 혁신특구를 함께 신청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경북도는 이와 함께 윤석열 정부 '지방시대 4대 특구' 유치에도 온 힘을 쏟고 있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구상해 공모하는 4대 특구에는 기회발전특구, 교육발전특구, 도심융합특구, 문화특구(대한민국 문화도시)가 있다.

기회발전특구 경우 최대 200만평 부지에 타 소재지 기업이 투자할 때 소득세·법인세 5년 전액 감면과 이후 2년 반액 감면이라는 파격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전 기업 종사자에는 주택 공급 혜택도 제공한다. 경북도는 구미의 빈 산단 부지나 노후 도심산단 재생사업 부지, 대학 중심 연구개발 등을 통해 기업 투자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12차 찾아가는 교육발전특구 설명회가 열린 28일 오후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에서 이주호 부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방정부가 협력해 지역교육을 혁신하고,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 정주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연합뉴스
제12차 찾아가는 교육발전특구 설명회가 열린 28일 오후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에서 이주호 부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방정부가 협력해 지역교육을 혁신하고,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 정주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연합뉴스

도심융합특구는 주로 광역시(선도사업지 대구·광주·대전·부산·울산) 중심으로 이뤄지는 건축규제 완화 및 고밀도 복합개발 단지다. 첨단·벤처기업 일자리를 만들고 삶과 여가가 집약되는 복합거점을 만드는 것으로, 경북도는 포항과 구미 경우 이 같은 특구 유치에 적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밖에도 최근 안동시가 최종 선정된 문화특구에 경주, 구미 등 더 많은 지역이 이름을 올리도록 힘쓰고, 포항 등 11개 시군이 뛰어든 교육발전특구도 유치해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한 교육모델을 확립할 방침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관 주도 지역개발의 한계가 뚜렷한 시점에서 5대 특구는 지방시대 도래의 양분이자 사다리가 될 것이다. 정부의 파격적 지원과 규제완화를 통해 민간주도 개발을 이어가며 지역 성장동력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