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에 전기차 폐배터리 자원순환(재활용 및 재사용) 클러스터(산업집적단지)가 2025년 상반기에 들어선다. 종합정보지원센터, 자원순환연구센터, 관련 기업 집적,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 시험평가와 인증, 녹색금융 지원, 재활용 전문 인력 양성 등 사용 후 배터리 산업 분야 국가 통합 컨트롤타워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8월 현재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50만5천971대다. 정부는 2030년까지 420만 대 보급 달성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환경연구원은 사용 후 배터리가 2021년 440개, 2023년 2천355개, 2025년 8천321개, 2029년 7만8천981개, 2030년 이후에는 10만 개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폐배터리 재활용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올해 7천억원에서 2030년 12조원, 2050년 600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배터리 재활용 사업은 이미 전 세계가 앞다퉈 투자하는 분야다. 중국은 배터리 재활용 분야 선점을 위해 정부 주도로 배터리 이력 관리 및 베이징·상하이 등 17개 지역에서 폐배터리 재활용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유럽연합(EU)도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활성화를 위해 유럽에서 거래되는 모든 종류의 배터리 디자인, 생산, 폐기 등에 대한 규정을 담은 새 배터리법을 채택했다. 나아가 전기차 배터리 주요 원료인 리튬과 코발트 재활용을 의무화하고 폐배터리 원료 회수 최소 기준도 2031년 도입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은 선발 주자들에 비해 많이 뒤처져 있다. 배터리 공급망 안정화 및 재활용 법률은 미흡하고 관리 체계도 부실하다. 그런 면에서 포항 폐배터리 클러스터는 엄청난 기회다. 돈이 되는 산업인 동시에 리튬, 코발트, 니켈 등 국가 전략 광물 공급망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중국, EU, 미국 등 선발 주자들의 정책과 법률, 시행 방안 등을 참고해 국가 차원의 법적, 제도적 지원을 적극 이끌어내야 한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전기차 폐배터리 산업은 누가 선점하느냐가 관건이다.
댓글 많은 뉴스
윤석열 '탄핵소추안' 초안 공개…조국 "尹 정권 조기 종식"
尹 회견때 무슨 사과인지 묻는 기자에 대통령실 "무례하다"
이재명 사면초가 속…'고양이와 뽀뽀' 사진 올린 문재인
"고의로 카드뮴 유출" 혐의 영풍 석포제련소 전현직 임직원 1심 무죄
스타벅스도 없어졌다…추락하는 구미 구도심 상권 해결방안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