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북한 도발행위 예의주시할 것"
9·19 남북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북한이 군사분계선(MDL) 최전방 감시초소(GP) 복원 조치에 착수했다. 이에 우리 군은 즉각적인 대응 조치 준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27일 북한군이 9·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한 비무장지대(DMZ) 내 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이라며 감시장비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한 사진에는 ▷북한군 병력이 감시소를 설치하는 장면 ▷진지에 무반동총으로 추정되는 중화기를 배치하는 장면 ▷병력이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장면 등이 담겼다.
군 관계자는 "예전 GP를 파괴하기 전 경계초소(감시소)가 있었는데 그것을 (다시) 만드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하얀 목재를 만들고 얼룩무늬로 도색했다"고 말했다. 북한 군은 야간에 경계초소(감시소)에서 경계근무도 서고 있다.
남북은 5년 전 체결한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 내에서 운영 중이던 각각 11개 GP 중 10개를 완전 파괴했고 나머지 한 개에 대해선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이에 따라 비무장지대 내 GP는 북측이 160여개에서 150여개로, 남측은 60여개에서 50여개로 줄어든 상태였다.
군은 지난 24일부터 북한이 GP 관련 시설물을 복원하는 모습을 포착했다면서 감시소는 필수 경계시설이기 때문에 북한이 11곳 모두를 만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국방부는 북한군이 최근 개방한 해안포 수를 늘리고 있다면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재무장 가능성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북한군은 서해 해안포를 기존에는 평균 1개소에 2문 정도 개방했는데 지금은 많이 늘였다. 또한 지난 2018년 10월 25일부로 모두 철수했던 JSA 북측지역 초소, 병력, 화기 재배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북한의 이런 복원 조치에 대해 "대응 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군은 북한의 도발행위를 예의주시하면서 강화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기반으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강력히, 끝까지 응징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사흘 동안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로부터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대내 선전효과를 극대화화기 위해 김 위원장이 위성 발사 이후 일주일 동안 매일같이 관제소를 찾거나 관련 보고를 받은 사실을 공개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