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협회(IIF) '세계 부채 최신 보고서'
세계 34개국 GDP 대비 기업 부채 비율 조사
"민간 대출 줄이면서 취약성 증가 징후 뚜렷"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非)금융 기업 부채 비율이 세계 34개 나라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최근 3개월 새 기업 부채가 불어난 속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빨랐다.
1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126.1%로 나타났다. 이는 홍콩(267.9%)과 중국(166.9%)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 2분기(120.9%)보다 5.2%포인트(p) 뛰면서 싱가포르를 제치고 한 단계 올랐다. 증가 폭은 말레이시아(28.6%p)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이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 부채 비율은 작년 3분기(120.4%)와 비교해도 5.7%p 높아졌다.
세계적 긴축 기조에도 지난 1년간 기업 부채 비율이 높아진 나라는 러시아(13.4%p)와 중국(8.6%p), 사우디아라비아(5.5%p), 인도(2.6%p), 베트남(2.5%p), 케냐(1.2%p), 남아프리카공화국(0.3%p), 이집트(0.1%p)까지 9개국이었다.
IIF가 올해 들어 10월까지 주요 17개국의 작년 동기 대비 기업 부도 증가율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약 40%로 네덜란드(약 60%)에 이어 2위였다. 비교 조사 대상은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핀란드, 벨기에, 스페인, 스웨덴, 덴마크, 튀르키예, 캐나다,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싱가포르, 남아프리카공화국이다.
IIF는 보고서에서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은행이 민간 부문 대출을 줄이면서 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들 사이에서 취약성 증가 징후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런 경향은 기업 부도 건수 증가에도 반영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가계부채의 경우 우리나라의 GDP 대비 비율이 3분기 기준 100.2%로 34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80%를 넘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홍콩(95.2%), 태국(91.5%) 3곳뿐이었다.
한국은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8.9%)도 22위로 중하위권 수준이었다. 작년 3분기(44.2%)와 비교해 부채 증가 폭은 4.7%p로 홍콩(23.3%p), 아르헨티나(8.1%p), 중국(7.1%p)에 이어 네 번째로 컸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39.9%)이었고, 싱가포르(170.8%), 미국(117.6%), 홍콩(103.4%) 등이 뒤를 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