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구미 '경제자유구역' 9년만에 재추진…신공항·반도체 특화 맞춤형 계획

입력 2023-11-13 17:10:56 수정 2023-11-13 20:42:35

시, 경제자유구역 지정 위한 '기본계획' 수립중... 용역 절차도 준비중
외국 기업 등 적극 유치 및 글로벌 인재 확보로 도시 경쟁력 확대 방침
부지 위치는 현재 미정, 용역 결과 및 전문 엔지니어의 의견 검토 통해 정해질 예정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시대를 맞아 경북 구미시가 국가산업단지 규모에 버금가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고 있다. 지난 2014년 경제자유구역(구미디지털산업지구) 지정 해제 이후 9년 만이다.

12일 구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330만㎡ 규모의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나섰다. 현재 용역 업무 전반의 구체적 내용을 규정한 '과업지시서' 작성을 마무리한 상태로, 용역 평가위원 모집 공고 등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 수립과 관련한 용역 절차를 앞두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08년 구미 산동면 임천리·봉산리·금전동 일대 470만㎡를 경제자유구역의 하나인 구미디지털산업지구로 지정했으나, 토지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난 2014년 돌연 해제됐다.

구미시가 9년 만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나선 배경에는 '신공항'과 '반도체 특화단지'가 있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인천국제공항과 연계해 송도, 영종, 청라 국제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처럼 대구경북통합신공항과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구미 경제자유구역을 지정·개발한다면 구미는 물론 대구경북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 최근 구미시가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에 성공한 만큼 관련 외국 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외국인 정주여건 개선을 통해 글로벌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시급하다는 여론도 조성되고 있다.

구미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외국 기업과 유턴 기업 등에 대해 세제 혜택 및 제반 비용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고, 기존 국가산업단지보다 규제도 완화돼 기업 유치가 훨씬 용이해진다고 설명했다. 또 국제학교 설립, 외국인 주거단지 조성 등을 보다 쉽게 추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구미시는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기본계획 수립 및 관련 용역 등 체계적인 절차를 거치고, 철저한 사업성 분석을 통해 경제자유구역 신청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경제자유구역 부지는 미정이다. 용역 결과와 전문가들의 입지 검토, 토지 분석 등을 통해 적절한 가용 부지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구미시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 지정·개발을 위한 중·단기, 장기 계획을 단계별로 준비할 방침"이라며 "대구경북신공항 개항 시점에 맞춰 외국인 투자 촉진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