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 연구팀, 초기 치매환자 신경세포 손상 원인 규명

입력 2023-10-12 17:12:16

최영식 박사팀 성과…“치매 초기 시냅스 손상 기전 밝혀”

최영식 책임연구원
최영식 책임연구원
장재명 연구원
장재명 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연구팀이 초기 치매환자의 신경세포 손상 원인을 규명했다.

뇌연구원은 뇌발달질환연구그룹 최영식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초기 치매환자의 신경세포 시냅스 손상 원인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초기 치매 환자에서 신경세포의 시냅스가 먼저 손상되는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최영식 박사 연구팀은 기억을 저장하는 뇌 부위인 해마의 신경세포가 어떤 기전으로 시냅스 손상이 발생하는지 연구했다. 신경세포에는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긴 축삭돌기가 뻗어 있다. 축삭돌기가 다른 신경세포와 연결되는 부위를 시냅스라 한다.

연구팀은 신경세포에서 분비해야 하는 소포체가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축삭돌기 안에 쌓여 시냅스 손상이 일어나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세포의 외부신호를 해석하는 일차섬모에 문제가 생긴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에 비해 손상이 빠르게 일어나는 사실을 규명했다.

최영식 박사는 "이번 연구는 치매 발병 초기에 뇌 신경세포의 시냅스 손상이 먼저 일어나는 기전을 밝힌 점에 의의가 있다.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에 의한 신경세포 축삭돌기 손상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연구는 뇌인지 장애를 억제하거나 지연하는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전보다 개선된 치매 치료제가 나와 효과를 보고 있으며 시냅스 손상을 억제하는 약물 개발로 더 효과적인 치료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뇌연구원 장재명 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학술지 '신경병리학회보'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