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 상승률도 10개 중 6개가 평균 넘어, 고추장 27.3% 상승
밀크플레이션 현실화, 아이스크림 14.0%·우유 9.3%·라면 7.5% 증가
추석 연휴 전 올랐던 과일 물가 더 가파르게 상승, 사과 54.8%·복숭아 40.4%·귤 40.2%
올 연말 물가 폭탄은 이미 터졌다. 소비자물가 대표 먹거리 지표인 외식 품목 대부분의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을 웃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99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7% 상승했다.
이 중 먹거리 지표인 외식 부문의 물가 상승률은 4.9%로 전체 평균보다 1.2%포인트(p) 높았다. 이는 2021년 6월 이후 28개월째 평균을 넘어서는 수치로 외식 부담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외식 부문 39개 세부 품목 중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웃돈 품목은 31개로 79.5%에 달했으며 피자는 12.3%로 세부 품목 중 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뒤이어 오리고기, 구내식당 식사비, 죽, 냉면, 자장면, 도시락 등이 7% 정도 물가가 올랐다.
여기에 우유와 맥주 가격도 잇따라 인상된 데 이어 과일 물가도 급격하게 올라 소비자들의 먹거리와 장바구니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달 가공식품 부문의 물가 상승률은 5.8%로 전체 평균보다 2.1%p 높았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22개월째 평균을 상회했다.
가공식품 부문 73개 세부 품목 중에서 61.6%인 45개가 평균을 웃돌았다. 물가 상승률은 고추장이 27.3%로 가장 높고 드레싱(23.7%)과 당면(19.5%), 치즈(17.7%), 소금(17.3%), 설탕(16.9%) 등이 뒤이었다.
지난달 농산물 중 과실의 물가 상승률은 24.0%로 평균의 6배가 넘었다. 상승 폭은 전달(13.1%)보다 10.9%포인트나 커졌다.
그중 사과의 물가 상승률이 54.8%로 소비자물가 전체 세부 품목 중 생강(116.3%) 다음으로 높았다.
또 복숭아 40.4%, 귤 40.2%, 딸기 31.6%, 수박 30.2%, 참외 21.0%, 밤 14.9%, 오렌지 12.5%, 바나나 10.8% 등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에서도 지난달 사과(홍로·상품) 도매가격은 10㎏당 7만5천4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2만8천400원)의 2.7배로 치솟았다.
배(신고·상품) 도매가격도 15㎏당 5만2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3만2천800원)의 1.5배 수준으로 뛰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