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현 의원 "공정위, 소비자 권익 보호에 관심 기울여야"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잔액 규모가 지난 6월 말 기준 3천18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 커피브랜드의 선불충전금 잔액 규모의 최소 50배에서 1천배 수준이다.
선불충전금 잔액은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거나 선물 받은 뒤 아직 사용하지 않은 선불카드, 모바일 상품권 등의 잔액을 집계한 것으로 아직 소비자 지갑에서 잠자고 있는 금액을 뜻한다.
선불충전금을 이용해 이뤄지는 전체 거래 규모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4일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충전 금액에서 사용 금액을 뺀 값)은 3천180억원이었다. 이는 투썸플레이스 미상환 선불충전금 잔액(62억8천만원)의 51배, 이디야(2억8천400만원)의 1천120배에 달하는 액수다.
스타벅스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은 2019년 말 1천292억원에서 2020년 말 1천801억원, 2021년 말 2천503억원, 작년 말 2천983억원 등으로 증가추세다.
선불충전금 잔액에는 타사가 발행한 물품 교환형 상품권 잔액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금액형 상품권은 포함됐다.
카카오 선물하기 등을 통해 거래된 커피·케이크 교환권 잔액을 빼고 계산해도 스타벅스 선불충전금 잔액이 3천억원을 넘는 셈이다.
다만 1∼6월 스타벅스의 지급 준비금은 3천480억원으로 미상환 잔액보다 많았다. 재무 상태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을 돌려줄 수 있도록 보험에도 가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2분기 말 기준으로 다른 카페 프랜차이즈의 선불충전금 미상환 잔액을 보면, 투썸플레이스 62억8천만원, 폴바셋 45억5천100만원, 이디야 2억8천400만원, 공차 2억7천400만원, 탐앤탐스 2억6천500만원, 달콤커피 5천200만원, 드롭탑 400만원 등이었다.
할리스는 공정위의 자료 제출 협조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윤창현 의원은 "온라인 선물하기 시장이 확대되고 커피 전문점 기프티콘이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며 "공정위는 통계 분석 등 정기 모니터링을 통해 소비자 권익 보호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