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여파…인뱅 신용대출 연체율 1년새 두 배 뛰어

입력 2023-09-18 18:11:12

사진은 경기도 성남시 판교 카카오뱅크 본사. 연합뉴스
사진은 경기도 성남시 판교 카카오뱅크 본사. 연합뉴스

중·저신용대출 공급을 늘린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인터넷은행 3사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출범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뛰었으며, 특히 인터넷은행 1호 케이뱅크는 연체율이 사상 처음으로 4%를 넘어서며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부실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터넷은행 3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1.20%를 기록했다. 인터넷은행 신용대출 연체율은 3사 신용대출 연체액을 신용대출 잔액으로 나눈 수치다.

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1년 0.3% 수준에서 유지되다가 지난해부터 점차 올라 지난해 6월 말 0.42%, 12월 말 0.77%, 올해 6월 말 1.04%, 8월 말 1.20%까지 올랐다. 인터넷은행 3사가 출범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일 뿐 아니라 1년 만에 약 2배 넘게 뛴 셈이다. 국내은행의 6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제외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이 0.62%라는 것과 비교해도,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높은 편이다.

은행별로는 토스뱅크가 1.58%로 가장 높았고, 케이뱅크가 1.57%, 카카오뱅크가 0.77%로 집계됐다.

사진은 서울 강남구 토스뱅크 본사. 연합뉴스
사진은 서울 강남구 토스뱅크 본사. 연합뉴스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대출만 떼어 보면 연체율 증가세는 더 가파르다. 지난달 말 기준 3사의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은 2.79%로 집계됐다. 2021년 말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0.8%대를 유지했지만, 지난해부터 상승해 올해 6월 말 기준 2.46%를 기록했다. 1년 전(0.84%)과 비교하면 연체율이 2.9배로 뛰었다.

은행별로는 케이뱅크가 4.13%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토스뱅크 3.40%, 카카오뱅크 1.68% 순이었다.

중·저신용 연체율 역시 각 사 개별로도, 3개 사 합산 기준으로도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인터넷은행 연체율의 가파른 상승세는 지속된 기준금리 인상이 주요인으로 보인다. 중·저신용자 지원이라는 출범 취지에 맞춰 중·저신용대출을 비중 목표치 달성을 위해 고금리 시기에도 대출 공급 확대해 왔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