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규제 강화 폐배터리 재활용 중요도 높아져...대기업 잇따라 진출

입력 2023-09-14 16:07:08 수정 2023-09-14 19:03:21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세계 배터리 & 충전 인프라 엑스포에서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가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세계 배터리 & 충전 인프라 엑스포에서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가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무역 규제 강화로 2차전지 폐배터리 산업의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대기업들은 폐배터리에서 핵심 광물을 추출하는 재활용 기술 확보 및 공정 신설에 공을 들이고 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으로 2차전지 원료 수급망 다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14일 한국무역협회의 '미국 IRA 시행지침이 우리나라 배터리 공급망에 미칠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양극재 소재인 전구체와 리튬은 21억7천만 달러, 50억9천만 달러 각각 적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중국 전구체와 리튬 무역수지는 21억1천만 달러, 30억 달러 적자가 났다. 무역협회는 IRA 세액공제 조건을 충족하고 수직 계열화를 통한 원가 절감을 위해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럽연합(EU)은 지난 6월 의결한 배터리법에 재활용 의무화한다는 내용을 명시했다. 배터리를 공급할 때 코발트, 니켈 등 원자재의 일정 비율 이상을 폐배터리에서 추출해 사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대기업 진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비철금속 제련 전문기업인 고려아연과 손잡고 폐배터리 사업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포스코홀딩스는 GS에너지와 합작사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를 설립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에코프로씨엔지는 폐배터리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증설을 계획 중이다.

대기업 건설 부문 계열사의 사업 다각화도 관심을 끌고 있다. GS건설은 경북 포항에 폐배터리 공장을 건립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경북 경주에 3천300억 규모의 투자를 확정해 오는 2028년까지 2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을 신설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