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중국 성장 둔화 여파 글로벌 제조업 개선 부정적 영향 가능성있어"

입력 2023-08-25 13:35:15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글로벌 제조업 경기 하강 국면…부진 당분간 이어질 듯"

부산항 컨테이너 하역장. 연합뉴스
부산항 컨테이너 하역장. 연합뉴스

중국발 경기둔화 여파가 글로벌 제조업 경기 개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글로벌 제조업 경기 평가와 우리 경제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파급 효과마저 재화보다는 자국 내 서비스에 쏠리고 있다. 중국 성장세 자체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요인도 글로벌 제조업 경기 악화 원인으로 지목됐다.

한국은행은 보고서에서 "한국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작년 하반기 이후 하강 국면"이라며 "글로벌 통화긴축(금리인상)에 따라 재화 수요는 위축된 반면 가계 수요가 여행 등 서비스에 집중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제조업은 당분간 부진을 이어가겠지만, 내년 이후 글로벌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등과 함께 재화 소비가 정상화하면 점차 개선될 것"이라며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초기 공급망 차질로 급증했던 재고 조정이 진정되는 추세도 긍정적"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중국의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인한 추세적 성장 둔화가 글로벌 제조업 경기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은은 "중국 정부의 부양책은 경기 회복에 도움이 되겠지만, 앞으로 중국 성장동력이 투자에서 소비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보다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나라는 수출시장 다변화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