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4일 기준금리를 다시 연 3.50%에서 동결했다. 한은은 앞서 지난 2월과 4월, 5월 7월에도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했는데 이번 결정으로 5연속 기준금리가 동결됐다.
특히 가계부채가 늘고 원/달러 환율이 다시 오르는 등 인상 요인이 있었으나, 최근 중국 부동산 리스크까지 겹쳐 경기가 더 불안해진 만큼 인상으로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키기보다 동결한 뒤 상황을 지켜보자는 신중론이 반영된 것으로 읽힌다.
이날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 주된 배경은 불안한 경기 상황인 것으로 분석됐다. 2분기 성장률(전 분기 대비 0.6%)은 1분기(0.3%)보다 높지만 세부적으로는 민간소비(-0.1%)를 비롯해 수출과 수입, 투자, 정부소비 등 모든 부문이 뒷걸음쳤다.
또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 등으로 중국 리스크가 커지고 미국의 추가 긴축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가운데, 하반기 경기 반등 실현이 더욱 불투명해졌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2.3%)이 2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기저효과가 큰 만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가능성도 적잖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 미 연준이 정책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한 상황에서 한미 금리 역전차 확대를 우려해 쉽사리 금리를 내리는 것도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3.5%)와 미국(5.25~5.5%) 금리 차는 역대 최대인 2.25%포인트 이상으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