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박근혜정부 주요 정책으로 추진됐던 할랄푸드산업 실패 거울삼아야
대구시 앞선 할랄푸드 산업 추진 사례 모두 검토, 인증체계 등 대비 갖춰
대구시가 17일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을 알리면서 앞선 할랄푸드산업 실패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철저한 준비를 다짐했다.
대구시는 지역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2028년까지 할랄 인증 업체 수를 현재에서 10배 늘리고, 수출액도 7천100만 달러에서 2억 달러로 3배 늘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내년부터 2028년까지 50억원을 투입해 할랄식품 수출 활성화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할랄푸드산업은 전세계 식품 시장에서 블루오션으로 주목되고 있다.
세계 할랄 식품시장 규모는 2021년 1조9천억 달러로 세계 식품시장의 26%를 차지하며 매년 10% 정도 성장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할랄식품만을 소비하는 무슬림 인구 역시 전 세계인구의 24.7%인 19억6천132만 명이고 다산을 미덕으로 여기는 무슬림의 평균 출산율은 세계 평균 출산율 2.4명보다 높은 2.9명으로 2060년에는 30억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할랄산업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이 있었다. 박근혜정부 시절인 2015년 당시 박 대통령의 중동 순방을 기점으로 대대적으로 할랄 산업 전파에 나섰다. 중동 국가들과 할랄식품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내에는 할랄 도축장을 포함한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할랄 단지 조성 등을 추진한 바 있다. 이 일환으로 2016년에는 대구시와 경북 지자체의 '한국형 할랄 6차 산업 육성' 사업, 2017년에는 충남 부여의 할랄 도축장 건립, 무슬림 관광객 유치를 위한 강원도 할랄타운 사업 등이 추진됐지만 모두 무산됐다.
당시 국내에서 무슬림에 대한 인식이 좋지않아 국민들의 많은 반대에 부딪쳤고 무엇보다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할랄 인증제도가 없어 각 나라별로 인증제도가 중구난방식인만큼 기업들이 할랄산업 진출하는데 걸림돌이 많았다. 막상 국내에서 할랄 푸드를 소비할 무슬림 수요도 크지 않았던 것도 국가 정책으로 시행됐던 할랄 산업이 크지 못한 이유 중 하나였다.
대구시는 앞선 할랄관련 사업 사례들을 모두 검토한 후, 대비에 나서고 있다. 우선은 앞선 사례들은 무슬림 관광객을 국내로 불러들이기 위한 목적으로 할랄 산업 육성이 진행됐다면 현재 대구시가 추진하는 사업은 지역 식품을 전세계 시장으로 수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있기에 방향성이 다르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최상욱 대구시 농산유통과장은 "대구시가 진행하는 이번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은 지역 식품시장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주 타겟층인 동남아 시장 진출을 우선적으로 목표하고 있다"며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는 KMF(한국이슬람교중앙회)의 할랄 인증서를 받으면 된다. 동남아 시장을 먼저 공략하면 중동시장 진출까지 교두보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 점진적으로 할랄 식품 수출을 늘려나간다면 원활히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