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이후 적자규모 다시 확대, 내국인 외국行 빠르게 증가
외국인 국내관광 더디게 회복…상반기 中관광객, 코로나 전 19.5% 그쳐
올해 상반기 관광수지 적자는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 정부가 자국민의 한국 단체관광을 전면 허용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국내 여행·관광업계에 '단비'가 될지 주목된다.
14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한국의 관광수지는 46억5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2018년(-70억6천만달러)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다. 상반기에만 벌써 최대 적자폭을 기록한 관광수지는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22년 연속 적자가 지속됐고, 올해도 23년째 적자를 이어갈 전망이다.
적자 규모는 2017년 약 147억달러로 정점을 찍었고, 이후에는 감소세를 보여 2019년 85억2천만달러에 이어 코로나 첫해인 2020년에는 31억8천만달러까지 줄었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에는 적자폭이 다시 커졌다. 2021년 43억3천만달러에서 지난해 53억달러로 커졌고, 올해 상반기 적자액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22.9% 확대됐다.
이는 엔데믹 이후 아웃바운드(내국인의 국외 여행)에 비해 인바운드(외국인의 국내 여행) 회복세가 더디기 때문이다.
상반기 방한 외래관광객은 443만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6.9% 늘었다. 그럼에도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기 전인 2019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52.5%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상반기 외국으로 나간 내국인 관광객은 993만명으로 2019년 상반기의 66% 수준을 회복했다. 이에 따라 상반기 관광 지출이 115억6천만달러로 관광 수입(69억1천만달러)을 크게 웃돌았다.
코로나19 이전 국내 관광객 규모 1위였던 중국 관광객의 회복 속도가 느린 것이 관광수지 적자에 큰 영향을 줬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2016년 807만명, 2019년 602만명을 기록한 이후, 코로나19가 유행한 2020년엔 69만명, 지난해는 23만명으로 뚝 떨어졌다. 올 상반기 방한 중국 관광객은 54만6천명으로 2019년 상반기의 19.5%에 머물렀다.
이런 상황 속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의 외국여행 허용국가에 한국이 포함된 것은 기대감을 부추기기에 충분하다. 중국 정부는 2017년 3월부터 본격화한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 이후 6년여 만에 한국으로 향하는 자국민의 단체 여행길을 활짝 열었다. 국내 관광업계의 '큰 손'인 유커가 돌아오면 적자에 허덕이는 관광수지가 어느 정도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중국 내 반한 정서가 확산했다는 점, 코로나19 이후 줄어든 양국 항공편이 회복되기까진 시간이 걸린다는 점 등으로 미뤄봤을 때 수요가 얼마나 늘어날지는 지켜볼 일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중국 최대 연휴인 국경절 연휴를 겨냥해 다음 달부터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등 현지에서 'K-관광로드쇼', 한중 기업 간 거래(B2B) 상담회 등을 통해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K-뷰티와 패션, 쇼핑, 음식관광을 소개하며 유커 유치에 나설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