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방문해 동남아 '우군확보전'…"유엔·국제법 중심으로 국제질서 지켜야"
왕이 중국 외교부장 겸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동남아 순방에서 적극적인 미국 견제에 나섰다.
1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위원은 이날 싱가포르에서 리셴룽 총리를 만나 "미국은 단극 패권을 유지하고자 하기 때문에 중국 등 신흥 국가의 발전을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며 "한편으로는 '대만 독립' 세력이 미국에 기대어 독립을 도모하도록 종용·지지함으로써 중국의 레드라인에 부딪히고, 다른 한편으론 공정경쟁이라는 가면을 벗고 다른 국가들이 중국을 상대로 일방적 보호주의에 나서도록 강요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역행은 (미국) 자신의 위신을 손상시키고, 세상 사람들에 미국이 오늘날 최대의 불안정 요소임을 증명하는 것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리셴룽 총리는 "오늘의 세계는 결코 평화롭지 않기 때문에 강대국이 주도적 역할을 발휘해 상호 이익과 상생을 추구해야 한다"며 "싱가포르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중국이 협력을 심화하고 지역의 평화로운 발전을 함께 지키는 것을 지지한다"고 했다.
왕이 위원은 이날 로렌스 웡 싱가포르 제1부총리를 만난 자리에선 "오늘날 혼란스러운 세계에서 유일한 정도는 유엔을 핵심으로 하는 국제 시스템과 국제법을 기초로 하는 국제 질서를 함께 수호하는 것"이라며 "강대국은 더욱 모범이 돼야 한다"고 했다.
웡 부총리는 "현재 싱가포르와 중국의 관계는 강하게 발전하고 있고,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공동 건설의 성과도 풍성하다"며 "싱가포르는 '정글의 법칙'과 힘의 정치에 반대하고, 지역의 평화·안정과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함께 지킬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번 해외 순방지는 왕 위원의 외교부장 복귀 이후 첫 순방으로 미국, 중국과 모두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아세안 국가들을 자국 편으로 끌어당겨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해 추진 중인 인도·태평양 전략에 맞서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