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초전도체 아닌 자석" 꿈의 물질 결국 해프닝?

입력 2023-08-09 15:42:08 수정 2023-08-09 20:15:42

미국·독일·스페인 잇단 부정…"자성 띤 물질 가능성" 분석
한국도 전문가 30명 검증 중

한국 연구진이 개발한 상온·상압 초전도체로 알려진
한국 연구진이 개발한 상온·상압 초전도체로 알려진 'LK-99' 연합뉴스

한국 연구진이 개발한 상온·상압 초전도체로 알려진 'LK-99'에 대한 회의적인 검증 결과가 나오고 있다.

미국 메릴랜드대 응집물질이론센터(CMTC)는 9일 SNS를 통해 "LK-99의 플랫밴드(flatbands)는 초전도가 아니라 자기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것이 ICQM(중국 베이징대 국제양자물질센터)에 이어 프린스턴대 연구에서도 검증됐다"고 밝혔다.

플랫밴드는 반도체의 밴드 다이어그램에서 전압 강하가 없는 수평 부분을 의미한다. 앞서 LK-99에 플랫밴드 구조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은 LK-99가 초전도체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요인 중 하나로 해석됐다. 이에 CMTC는 LK-99에 대해 초전도성이 아닌 강자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논문을 공개했다.

또 미국 프린스턴대와 스페인 도노스티아 국제물리센터(DIPC), 독일 막스플랑크 고체 화학물리연구소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진은 논문에서 "LK-99는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기보다는 자석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LK-99가 상온·상압 초전도체 후보로 제시됐지만 실험적, 이론적 관점에서 이런 주장은 대부분 근거가 없다"며 "(검증을 위해) LK-99 샘플을 합성하고 분석한 결과 이 물질은 고온 초전도성을 나타내지 않는 '다상 물질'로 드러났다"고 했다.

이어 이들은 "자체 합성해 얻은 4가지 구조의 LK-99에 대해 위상구조와 양자기하학 등 다양한 분석을 한 결과, 이 물질이 가진 물리적 특성은 초전도 같은 초유동성 현상을 일으킬 수 없고 대신 저온에서 강자성을 띨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대만국립대(NTU), 인도국립연구소(ICQM) 등은 한국 연구진이 지난달 22일 LK-99 관련 논문을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공개한 이후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는 내용의 검증 연구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LK-99에 대한 검증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는 지난 4일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보고된 해외의 LK-99 관련 이론 및 실험 발표 중 아직 초전도성을 확인한 검증 결과가 없다"며 "관련 전문가 30명으로 검증위를 꾸려 교차 검증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