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반려동물 시장 규모 15조원으로 확대… 펫푸드·펫헬스케어 등 집중 지원

입력 2023-08-09 09:54:40

농식품부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대책' 발표
펫푸드·펫헬스케어·펫서비스·펫테크 등 4대 분야 지원

이재식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이 지난 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식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이 지난 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가 사료, 미용 등 반려동물 연관산업을 육성해 2027년까지 국내 시장 규모를 15조원으로 작년의 2배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펫푸드 수출액은 작년 1억4천900만달러에서 2027년 5억달러로 확대하고, 기업 가치가 1천억원 이상인 기업을 7곳에서 15곳으로 늘린다.

농식품부는 9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의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대책'을 발표했다.

반려동물 연관산업은 사료, 진료, 미용, 장묘, 보험 등 반려동물 양육과 관련한 산업 전체를 의미한다.

정부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 수가 증가함에 따라 연관산업이 커질 것으로 보고, 이를 육성하고 수출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펫푸드 ▷펫헬스케어 ▷펫서비스 ▷펫테크 등 4대 분야를 주력 산업으로 선정하고 각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내년에는 펫푸드의 분류, 표시, 영양 등과 관련한 특화 제도를 마련하고, 신제품 개발을 위해 원료의 안전성 평가와 원료등록을 확대할 방침이다.

펫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반려동물 가구의 진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10월부터 100여개 다빈도 진료 항목에 대해 부가세를 면제하고, 연내 진료 항목 100개 대한 표준화를 완료한다.

또 다양한 펫보험 상품을 개발하고 보험 판매와 청구의 간편성을 높여 펫보험을 활성화한다.

펫서비스 분야에서는 인력 확충을 위해 내년 4월 반려동물 행동지도사 제도를 도입하고, 내년 중 동물보건사 제도를 개선한다.

아울러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2곳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내년 장묘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펫테크 스타트업에는 자금과 판로 등을 지원하고, 반려동물 관련 인공지능(AI) 기술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데이터 공유를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반려동물 산업의 성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실증 기반 시설을 조성하고 연구개발(R&D) 투자도 확대한다.

또 내년 반려동물 연관산업 특화 자펀드 100억원을 조성하고, 중장기 R&D 로드맵을 마련한다.

수출 지원을 위해선 민관 수출지원협의체를 구성하고, 내년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을 위한 법률 제정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