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발행액 10조원, 환수액 7.8조원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좀처럼 보이지 않던 5만원권 지폐가 다시 쏟아져 나오고 있다. 고금리 시대에 고액권을 들고 있기보다 예·적금 등의 형태로 굴리는 게 유리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화폐 수급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5만원권 발행액은 약 10조원, 환수액은 7조8천억원으로 환수율 77.8%를 기록했다. 5만원권 발행을 시작한 2009년 6월 이후 상반기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환수율이다. 금리가 갑자기 크게 떨어지지 않는 한 간 전체로도 5만원권 환수율은 역대 최대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통상 한국은행이 화폐를 발행하면 화폐는 시중에서 유통되다가 예금·세금납부 등 형태로 금융기관으로 입금된다. 금융기관은 일부를 시재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한국은행에 입금하는데 이때 돌아온 금액이 환수액이다.
5만원권 환수율은 2009년 최초 발행 이후 꾸준히 상승해 2017∼2019년 중 50∼60%대에 이르렀다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2021년에는 10∼20%대까지 떨어졌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대면 거래가 감소했고, 경제 불확실성에 고액권을 미리 확보해두려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 방역 규제 완화로 소비심리가 회복되고, 한국은행이 2021년 8월부터 기준금리를 3.00%포인트(p) 올리면서 환수율이 높아졌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금리도 함께 뛰면서 현금을 보유하기보다 높은 금리를 주는 예·적금 등에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는 게 한국은행 측 설명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2021년 8월 연 1.03%에서 지난해 11월 연 4.29%까지 뛰었다. 은행 수신금리는 이후 하락해 지난 4월 3.43%까지 내렸으나, 5월 반등해 6월에는 3.69%로 집계됐다.
예금은행 수신 잔액 역시 2021년 8월 말 2천253조7천억원에서 지난해 11월 2천480조6천억원까지 늘었다.
고액권 환수율 증가세는 통화 긴축을 이어간 다른 주요국에서도 관측됐다. 미국 100달러권 환수율은 2020년 51.0%까지 하락했다가 지난해 81.3%로 올랐다. 유로존 200유로권 역시 2020년 환수율이 46.5%로 내렸다가 지난해 104.8%까지 상승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