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향하던 태풍 카눈, 방향 틀어 한반도로 올까…기상청, 내일 브리핑

입력 2023-07-31 18:11:53

기상청이 31일 오전 10시 발표한 태풍 카눈 예상 경로. 기상청 제공
기상청이 31일 오전 10시 발표한 태풍 카눈 예상 경로. 기상청 제공

중국 상하이로 향하며 한반도를 비껴갈 것으로 예상됐던 제6호 태풍 카눈이 예상 경로를 바꿔 한반도로 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카눈은 이날 오전 9시 기준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약 660km 부근 해상에서 시속 19km로 북서진하고 있다. 중심 기압은 955h㎩, 최대풍속은 초속 40m(시속 144km), 강풍반경은 400km나 된다.

카눈의 강도는 '강'까지 성장했다. 강도분류상 열차가 탈선될 정도의 위력이지만 이 태풍은 다음달 1일 오전 중 '매우 강'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 경우 사람이나 커다란 돌이 날아갈 수 있는 위력이 된다.

당초 내달 5일 중국 상하이 남쪽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됐던 카눈은 내달 3~5일 오키나와 서쪽 혹은 상하이 남동쪽 해상에서 우리나라 쪽으로 방향을 틀 것으로 보인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나 일본·중국·대만 기상청 등도 한국 기상청과 마찬가지로 카눈이 상하이 쪽으로 북서진을 거듭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이와 오키나와 사이 바다에서 방향을 틀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다만 카눈이 한반도에 상륙할 것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지난해 발생한 태풍을 기상청이 72시간 전 진로 예보한 것과 실제 거리 오차는 평균 166㎞였다. 아직 카눈이 충분히 북상하기 전이어서 진로를 예단하기 어렵다.

기상청 관계자는 "앞으로 태풍의 이동속도가 더 느려질 것으로 예상되며, 태풍의 북서쪽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바람의 영향 정도에 따라 태풍 경로가 변동되겠다"며 "(수치예보 모델상) 태풍의 향후 예상 이동 경로의 변동성은 중국 상해부터 일본 규슈 남쪽 해상까지 매우 넓게 예측된다"면서 "보다 면밀한 분석을 하면서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라고 했다.

기상청은 8월 1일 오전 수시 브리핑을 통해서 국내 영향 가능성을 밝힐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