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정착하고, 출향인이 돌아오고, 외국인이 이주하는 경북"…인구감소 대응계획 수립

입력 2023-06-27 18:36:29

경북도, 27일 도청에서 '제1회 경상북도 인구감소지역대응위원회' 개최
경북의 인구감소 위기 대응을 위한 중요한 정책을 심의·자문
경북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 및 2023년 시행계획, 20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 운영계획안 심의

경북도는 27일 도청에서
경북도는 27일 도청에서 '2023년 제1회 경상북도 인구감소지역대응위원회'를 열었다.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1시군-1전략산업-1대학을 연계하는 'K-U시티' 정책과 지방소멸대응기금 등을 통해 인구감소 문제 해결에 나서고자 관련 기본계획 심의에 나섰다.

경북도는 27일 도청에서 '2023년 제1회 경상북도 인구감소지역대응위원회'를 열었다.

위원회는 지난 15월 구성돼 경북의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을 심의하는 기구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포함한 당연직 위원 3명과 대학, 연구기관, 공공기관의 관련 전문가 17명으로 이뤄졌다.

이날 안건은 '경상북도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2022~2026)와 '2023년 시행계획(안)', '2024년 지방소멸대응기금 운영계획(안)'이다.

이 가운데 경상북도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2022~2026) 및 시행계획은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라 수립한 첫 법정계획이다.

지방소멸기금과의 연계 등을 통해 경북의 인구감소 위기에 대응하고 미래 지역인구 관련 정책의 큰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립했다.

경북도는 27일 도청에서
경북도는 27일 도청에서 '2023년 제1회 경상북도 인구감소지역대응위원회'를 열었다. 경북도 제공

기본계획에는 '지방시대 인구유입 1번지, 경상북도 K-로컬 전성시대'라는 비전 아래 3대 목표, 4개 전략을 담았다.

3대 목표는 '청년이 정착하는 경북, 출향인이 돌아오는 경북, 전 세계에서 찾아오는 경북'이다. 또 4개 전략은 '지역일자리 창출, 생활인구 방문유입 활성화, 필수 생활환경 강화, 외국인 이주정착 지원' 등이다.

이는 16개 세부과제와 129개 세부사업으로 구성했으며, 지방이 주도하는 정책으로 인구유입과 지역 활성화를 이뤄나간다는 구상을 담았다.

특히 1시군-1전략산업-1대학과 연계한 '경상북도 K-U시티 프로젝트'는 지역 청년들이 지역 대학을 나와 지역 기업에 취업해 지역에서 정주할 수 있는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해당 정책은 이번 기본계획의 3대 목표와 4개 전략을 함축하고 있다

도는 또한 관련법에 따라 '2024년 경상북도 지방소멸대응기금 운영계획'을 통해 인구감소지역 대응에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 확실한 지방시대를 뒷받침하는 투자계획을 검토하고 나섰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현재 지방은 저출생 및 인구유출에 따른 인구감소로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해있다"며 "인구감소지역대응위원회가 이번에 심의한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시작으로 경북의 인구감소에 대응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