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라면' 물가 13.1% 상승,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찍어

입력 2023-06-05 16:15:27

치즈 21.9%·빵 11.5%·김밥 10.1% 등 먹거리 2년전 비교시 10개중 8개 10% 이상 올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4월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4.04로 전년동월보다 13.1% 올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2월(14.3%) 이후 14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사진은 5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라면을 고르는 외국인 관광객의 모습. 연합뉴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4월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4.04로 전년동월보다 13.1% 올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2월(14.3%) 이후 14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사진은 5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라면을 고르는 외국인 관광객의 모습. 연합뉴스

라면 한 그릇에 김밥 한 줄이 더이상 간편한 한끼가 아니게 됐다.

지난달 라면의 물가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이 둔화됐지만 라면을 비롯한 일부 먹거리 품목은 물가 상승률이 10% 선을 웃돌고 있다. 소비자물가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2년 전과 비교하면 먹거리 품목 10개 중 무려 8개의 물가 상승률이 10% 선을 상회하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4.04로 지난해 동월보다 13.1% 올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2월(14.3%) 이후 14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라면 물가가 고공행진을 벌이는 것은 제품 가격이 줄줄이 올랐기 때문이다.

농심이 지난해 9월 라면 출고가를 평균 11.3% 인상한 데 이어 팔도, 오뚜기는 바로 다음 달 제품 가격을 9.8%, 11.0% 각각 인상했다. 삼양식품 역시 지난해 11월 라면 가격을 평균 9.7% 올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의 먹거리 지표인 가공식품과 외식 부문의 세부 품목 112개 중 27.7%인 31개는 물가 상승률이 1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3%로 둔화했지만, 먹거리만큼은 물가 상승 둔화 체감률이 떨어진다.

잼이 35.5%로 가장 높고 치즈(21.9%), 어묵(19.7%), 피자(12.2%), 두유(12.0%), 커피(12.0%), 빵(11.5%), 햄버거(10.3%), 김밥(10.1%), 김치(10.1%) 등 순으로 물가가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