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오염수 시찰단' 2차 회의서도 합의 못내…"파견까지 시간 촉박"

입력 2023-05-18 09:58:08

정부 오염수 시찰단, 23∼24일 포함 3박4일 일정으로 방일 계획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후쿠시마 원전 시찰단 현안 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후쿠시마 원전 시찰단 현안 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일 양국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 2차 실무회의에서도 구체적인 활동 계획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당장 다음주 한국 측 실무단 파견까지 촉박한 일정을 앞두고 있어 양국이 충분히 논의를 주고 받는 데 난항이 예상된다.

양측은 지난 17일 오후 화상회의를 열고 앞서 지난 12일 1차 회의에서 합의를 내지 못한 시찰단 활동의 세부 사항을 재논의했다. 4시간에 걸쳐 회의가 이어졌으나 시찰단 활동과 관련해서는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회의가 종료됐다.

지난 1차 회의도 12시간 넘게 진행됐지만 시찰단 파견 일정을 나흘로 정한다는 합의만 도출한 채 마무리됐다.

당시 정부는 오염수 방류 과정 전반을 살피기 위해 시찰단에서 접근하려는 시설과 정보 목록을 작성해 일본 측에 전달했으나, 일본은 일부 시설은 내부 협의가 필요하고 일부의 경우 미운영을 이유로 시찰이 어렵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은 향후 추가적인 회의대신 외교 경로를 통해 시찰 가능 시설과 접근 가능한 데이터 등에 대한 조율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마치는 대로 정부는 원자력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시찰단을 꾸릴 계획이다.

정부는 오는 23∼24일을 포함하는 3박 4일 일정으로 시찰단이 일본을 방문하는 계획을 세워둔 상태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은 "통상 일반적인 시찰은 밖에서 둘러보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저희는 안에 들어가야 하고 들어가는 곳은 1급 시설"이라며 "(1급 시설에) 들어가는 사람은 1주일 전에는 명단 통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협의 사항에 대해 각자 검토해 내일부터라도 일단 외교경로로 의사소통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