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달 위협하는 먹거리 물가…10% 이상 상승 품목 수두룩

입력 2023-05-08 16:42:12 수정 2023-05-08 20:05:10

먹거리 10개 중 3개 상승률 10% 웃돌아
“외식 물가도 전기·가스처럼 억누르다 터질 수도”

지난달 소비자물가의 먹거리 구성 품목 10개 중 3개는 여전히 물가 상승률이 10% 선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어묵·맛살. 연합뉴스
지난달 소비자물가의 먹거리 구성 품목 10개 중 3개는 여전히 물가 상승률이 10% 선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어묵·맛살. 연합뉴스

먹거리 물가의 가파른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5월 가정의 달 밥상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의 먹거리 중 상당수 품목이 물가 상승률 10%를 넘기면서 외식 물가 상승세를 부추기고 있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지난해 2월(3.7%) 이후 14개월 만에 처음으로 3%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먹거리 물가 지표인 외식 물가 상승률은 7.6%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0.2%포인트(p) 올랐다.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전체 평균치 대비 3.9%p 높았는데 이는 1992년 5월(5.0%p) 이후 약 31년 만에 가장 큰 격차다. 전체 소비자 물가에서 외식 등 먹거리 물가 부담이 크다는 뜻이다. 지난달 외식·가공식품 세부 품목 112개 중 28.6%인 32개는 물가 상승률 10%를 웃돌았다.

품목별로 보면 잼(34.8%)과 드레싱(32.6%)이 30%가 넘었고, 치즈(24.9%), 물엿(23.7%), 맛살(23.2%), 어묵(22.6%), 참기름(22.1%), 파스타면(22.0%) 등은 20%를 넘었다. 밀가루(19.2%), 햄버거(17.1%), 식용유(15.4%), 당면(15.1%), 국수(13.7%), 라면(12.3%) 등은 10%를 넘었다.

치솟는 먹거리 물가에 정부는 식품기업들에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나섰지만,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식품업계에 부당한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피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인상 폭을 최소화할 것을 요청했다. 올해 들어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업계와 매달 한 두차례 간담회를 열며 압박 수위는 높이는 모습이다.

그러나 전기·가스 요금처럼 먹거리 물가를 인위적으로 누를 경우 한 번에 가격이 크게 뛸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온다. 식품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업들도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 시점이 도래하면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한 식품기업 관계자는 "정부 눈치가 보여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는 있지만 시기가 되면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식품기업 실적이 전반적으로 저조한 상태라 단기적으로는 가격을 억누를 수 있어도 장기적인 인상은 외면하기 어렵다"고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금리 인상 등으로 가계 구매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식품기업도 큰 폭으로 가격을 올리긴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지갑이 가벼워져 가격을 무턱대고 올리긴 힘들 것"이라며 "가계 구매력 감소를 고려하는 선에서 생산비 증가분을 가격에 반영하는 정도가 적절해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