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기획 수사' 프레임 꺼내 들어…동시에 진상조사 방법 고민
대의원 의사 과도하게 반영되는 선거제 '문제 근원' 지적도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2021년 전당대회 당시 돈 봉투가 의원들에게 전달됐다는 의혹을 두고 당내 파장이 커지고 있다. 당내에서는 검찰이 정부·여당의 지지율 부진에 대응한 기획 수사라며 '검찰 탄압' 프레임을 꺼내 들었지만 한편으로 내년 총선을 대비해 자체 진상조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일단 검찰 탄압 프레임을 빼들었다. 민주당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검찰이 (녹취 파일을) 입수한 지 상당 기간이 지난 지금 여권의 지지율이 도청 문제, 막말 등으로 바닥을 치고 있는 때 나왔다"며 검찰이 그동안 수집했던 혐의들을 적절한 시기에 꺼내는 '기획 수사' 가능성을 제기했다.
혐의의 당사자인 윤관석 의원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과 아무 관련이 없다"면서 "검찰이 사전 조사를 요청하거나 증거를 제시한 적도 없다"고 항변했다. 그러면서 "사건 관련자의 진술에만 의존해 이뤄진 검찰의 비상식적 야당탄압 기획 수사"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내주 진상 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16일 기자들과 만나 "다음 주 진상규명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다만 진상규명에는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어, 이에 자세한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했다.
당내에서는 제대로 진상을 파악해서 위기를 넘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안규백 의원은 "당 윤리심판원은 법조인 등 외부 인사로 구성된 만큼 독립적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신속, 명확하게 조사를 해서 사실 관계를 가리고 국민께 이해를 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의혹을 계기로 당내 선거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송영길 전 대표 캠프가 의원들에게 돈 봉투를 전달한 이유는 이들을 통해 당 대의원들을 포섭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 이번 의혹이 당직 개편을 통해 겨우 가라앉은 내부 계파 갈등이 재점화하는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당시 당대표로 선출된 송 전 대표는 줄곧 당내에서 이재명 대표와 '밀월 관계'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은 바 있다.
비명(비이재명)계는 지난 대선 경선 때 송 전 대표가 사실상 이 대표를 지원한다며 '이심송심'(李心宋心) 논란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 비명계 의원은 통화에서 "비주류였던 송 전 대표가 당 대표가 될 때 상당수의 친명계가 도운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라며 "수사 상황을 봐야겠지만 특정 계파의 책임론이 불거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