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이 초유의 사례로 쓴 '탄핵' 및 '파면'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을 경우 약 4년 뒤인 2027년 3월 3일 예정된 21대 대선을 염두에 둔, 대권 유력 주자 여론조사 결과가 15일 오전 발표됐다.
국민리서치그룹·에이스리서치가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향후 우리나라를 이끌 차기 지도자 적합도'를 물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재명 37.3%
한동훈 16.4%
홍준표 7.2%
오세훈 7.1%
원희룡 5.6%
안철수 4.2%
이낙연 4.1%
유승민 3.5%
김부겸 1.6%
이어 지지 후보 없음 6.5%, 기타 후보 4.1%, 잘 모름 2.5%.
이 조사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포인트)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여야 대권 유력 주자 통틀어 오차범위 밖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사법리스크'가 해소되기는커녕 더욱 고조된 상황에 '당 대표 사퇴론'까지 불거졌지만, 되려 지지층이 결집한 맥락도 감지된다. 또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명이고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 후보는 6명이기 때문에, 정당별 표심이 나뉜 데 따라 이재명 대표에게 상대적으로 쏠린 맥락이다.
여권과 야권을 나누면 야권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1위 주자, 여권에서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위 주자이다.
한동훈 장관은 여권 주자들 가운데 2위인 홍준표 대구시장(7.2%)에 역시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윤석열 대통령의 복심으로 분류되는 한동훈 장관은 최근 정순신 국가수사본부장의 아들 학폭(학교폭력)에 따른 낙마에 대한 인사검증 실패 이슈에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휩싸인 바 있다.
이어서는 '도긴개긴', 즉 도토리 키재기이다. 홍준표 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안철수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유승민 전 의원이 대체로 서로 오차범위 내 수준의 격차를 보이고 있어 순위 구분이 큰 의미가 없다.
이어 요즘 소식이 뜸한 김부겸 전 국무총리도 여론조사에서 언급돼 시선이 향한다.
전체에서 TK(대구경북) 주자가 홍준표 시장, 유승민 전 의원, 김부겸 전 총리 등 3명이 포함된 점도 눈길을 끈다.
9명 가운데 4명이 행정부 공직자(장관 2명, 광역단체장 2명)로, 현직 국회의원(2명)보다 많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러 검찰(검사) 출신이 3분의 1인 3명(한동훈 장관, 홍준표 시장, 원희룡 장관)으로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법조인 출신으로 범위를 넓히면 검사 출신 3인에 변호사 출신 이재명 대표와 오세훈 시장까지 더해 5명이 된다. 이들이 상위 5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전임 문재인 전 대통령(변호사 출신)과 현임 윤석열 대통령(검사 출신)에 이어 대권에 대해 '법조인 대세'라는 수식도 붙일 수 있는 부분이다.
조사는 무선 100% 자동응답(ARS) RDD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3%로 나타났다.
이 조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