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푸드테크 시대의 등장

입력 2023-04-14 12:33:18 수정 2023-04-16 15:13:52

식량 증산에서 이제는 식품 산업 육성으로
이원영 경북대 식품공학부 교수

이원영 경북대 식품공학부 교수
이원영 경북대 식품공학부 교수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 정책의 변화가 생기면 국정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부처의 조직이 개편되곤 한다. 작년 말, 농림축산식품부는 식품산업 발전을 통한 농업의 부가가치 제고와 첨단 식품기술 육성을 위해 기존의 식품산업정책과를 푸드테크정책과로 명칭을 변경했다. 정부 내 부서의 명칭 하나 바뀐 것이 무슨 대수냐 할 수 있겠지만 식품을 전공한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 의미가 남다르다.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체결하는 자유무역협정(FTA)은 바터(barter)식 협상으로 경쟁력이 낮은 산업의 피해는 당연해 지금까지 우리나라 농정은 농산물 개방으로 피해를 보는 농민들의 소득 보전에 초점을 두었고, 한 번도 겪은 적 없는 식량안보의 가상적 위협하에 식품산업보다는 농업을 우선시하였다. 과거 식량 증산만이 배고픔을 해결하는 유일한 방안이었음을 생각해 보면 한편 이해되는 일이기도 하나 외국 농산물이 자유롭게 수입되고 K-푸드에 전 세계가 열광하는 작금을 생각해 보면 농림축산식품부가 식품산업의 육성이 곧 농업의 육성과 맞물려 있다는 인식 전환을 가짐이 아닌가 하는 기대를 하게끔 한다.

식품산업도 최근 푸드테크 열풍이 일면서 세간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푸드테크란 생물공학기술과 디지털 기술을 식품산업에 융합시켜 대체육이나 배양육 생산, 스마트 팩토리와 스마트 HACCP, 외식 분야의 인공지능(AI)과 융합, 원료 업사이클링 등 혁신을 일으키는 산업을 의미한다.

인류가 존재하면서부터 있어 온 식품에 테크라는 이름이 붙으면서 새롭게 조명되는 이유는 뭘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첫 번째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들의 노령화와 저출산에 기인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식품산업은 대표적 3D 노동집약 업종이다. 만약 푸드테크를 통해 식품 생산과정의 상당 부분이 무인화와 자동화된다면 기업은 많은 제품을 소비자에게 싼 가격에 공급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문제이다. 세계적으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식량자원의 증산은 필연적이었으며 결과적으로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증가를 가져왔다. 식량자원 중 이산화탄소의 상당량은 단백질원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육, 혹은 배양육의 개발은 인류가 지구환경을 위해 해야 하는 최소한의 조치일 것이다. 상기의 두 전제로 푸드테크라는 용어가 대중들에게 인식되기 시작한 만큼 정부 당국에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년 업무보고에서 "2027년까지 1천억 원 규모의 푸드테크 전용 펀드를 조성해 푸드테크를 신산업으로 육성"하고 "2023년 농식품 수출액 100억 달러를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대구경북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은 중남권 경제 물류를 담당해 농식품 수출의 관문이 될 것이다. 이런 입지 여건을 고려해 농식품부가 신산업으로 육성하는 그린 바이오와 푸드테크 중심의 식품산업클러스터를 군위에 조성해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푸드테크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연관 거버넌스를 구축해 협력한다면 우리 지역이 K-푸드의 중심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