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영 지음/ 길벗 펴냄
많은 부모가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 발달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사고력을 높이고자 한다. 하지만 과연 효과적으로 대화하고 있는걸까?
되돌아보면 아이에게 하는 대부분의 질문은 "이 꽃 이름이 뭐니?", "컴퓨터의 영어 스펠링이 뭐니?"처럼 신선하지도 창의적이지도 않은, 그저 암기력만 확인하는 질문들이다.
물론 암기는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인간은 기억 저장 장치가 아니라 머릿속의 지식을 다듬어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7단계 질문법을 제시한다. 기억, 이해, 활용, 분석, 평가, 창의, 성찰 등이 그것이다. 기억에서 성찰의 순서로 나아갈수록 질문 수준이 높아진다. 이 위계는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벤저민 블룸의 '6단계 인지기능론'에 지은이가 마지막 단계인 성찰을 추가한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세종대왕의 업적 중 한글 창제를 주제로 7단계 질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단순히 기억을 묻는 질문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몇년도에 창제했을까?"이고, 이해 질문은 "세종대왕은 왜 한글을 만들기로 했을까?"다. 활용 질문은 "신형 휴대전화에 예쁜 한글 이름을 붙여볼까?", 분석 질문은 "한글 자음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따 만들었다는거 아니?"다.
또한 평가 질문은 "세종대왕만큼 중요한 역사적 인물이 또 없을까?", 창의 질문은 "한글이 창제되지 않았다면 우리 삶은 어땠을까?"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성찰 질문은 "우리는 한글을 정말 사랑하고 있을까?"다.
7단계 질문에 지레 겁을 먹을 수도 있다. 이 책은 한 단계씩 차근차근 설명하며 충분히 예를 들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7단계 질문을 숙지하고 활용해볼 수 있다. 지은이는 10여 년간 공부해온 국내외 자녀교육서를 참고하거나 자녀교육서를 쓰며 쌓인 경험을 활용해 7단계 질문 600여 개를 직접 만들었다.
또한 초등 저학년부터 중학생까지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 내용과 관련 도서를 기반으로 한 질문을 담아 사고력을 키울 수 있도록 했다.
지은이인 정재영 작가는 '왜 아이에게 그런 말을 했을까', '말투를 바꿨더니 아이가 공부를 시작합니다', '한 문장도 어려워하던 아이가 글쓰기를 시작합니다' 등의 책을 펴낸 바 있는 자녀 교육과 의사소통 분야 '만렙' 작가다. 340쪽, 1만8천원.
댓글 많은 뉴스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
윤 전 대통령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기대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계엄, 1만명 학살 계획' 이재명 주장에 尹측 "이성 잃은 듯, 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