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경기전망지수 8.4p 상승…신학기 등 기대심리 작용

입력 2023-02-27 11:14:48

지난달 평균 가동률 2.1%p 하락

성서산업단지 전경. 매일신문DB.
성서산업단지 전경. 매일신문DB.

대구경북 경기전망지수(SBHI)가 지난달에 이어 상승세를 보일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지역본부(이하 중기중앙회 대경본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3월 대구·경북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기중앙회 대경본부가 지난 13일부터 19일까지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 336곳(제조업 174곳, 비제조업 162곳)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구경북 SBHI는 81.0으로 전월(72.6) 대비 8.4포인트(p) 대폭 상승했다. 이는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과 경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계절적 비수기가 끝나고 신학기 등으로 인한 기대심리와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은 78.4로 전월(74.1)대비 4.3p, 비제조업도 83.6으로 전월(70.9)대비 12.7p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79.8로 전월(72.8)대비 7.0p, 경북은 82.4로 전월(72.4)대비 10.0p 상승세를 보였다.

제품재고수준 103.7에서 103.2로 줄었지만, 여전히 기준치(100) 초과로 과잉 상태로 전망했다. 고용수준도 92.7에서 93.6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부족한 상태란 게 업계의 전망이다.

2월 기업경영상 가장 큰 애로사항은 내수부진(61.9%)이었다. 인건비 상승(58.6%), 원자재가격 상승(44.6%), 고금리(44.0%), 업체 간 과당경쟁(33.6%), 인력확보 곤란(33.3%)도 뒤를 이었다.

전월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항목은 원자재가격 상승(6.4%p)이며, 가장 많이 감소한 항목은 계절적 비수기(4.1%p)로 집계됐다.

1월 대구경북 중소제조업 생산설비 평균가동률은 70.7%로 전월(72.8)대비 2.1%p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