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3일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2025학년도 초3·4학년, 중1, 고1부터 디지털 교과서 사용
올해 상반기 7개 시도교육청 선정, 총 300개 디지털 선도학교 운영토록
디지털 기술 전문성 갖춘 교사도 대거 양성
2025학년도부터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1, 고1 학생들은 수학·영어·정보 교과를 공부할 때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할 전망이다.
교육부는 23일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하면서 수학·영어·정보교과에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하기로 하고,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확장현실(XR)·대화형 인공지능 등 교과 특성에 맞는 기술을 적용해 교과서를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학 교과의 경우 AI튜터링 기능을 통해 학생들이 어려운 문제에 맞닥뜨려도 쉽게 포기하지 않도록 했다. 영어의 경우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해 듣기뿐 아니라 말하기 연습도 지원한다. 정보 교과에선 코딩 실습을 강화한다.
디지털 교과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맞춰 2025학년도에 초등학교 3·4학년, 중1, 고1(공통·일반선택)이 쓰게 되며, 2026년에는 초 5·6학년과 중2, 2027년에는 중3 등 단계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중학교에서 배우는 정보 교과는 학교마다 편성하는 학년이 다를 수 있기에 2025학년도에 1학년에 편성하는 학교부터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게 된다.
수학·영어·정보 이외에 디지털 교과서를 추가로 적용하는 과목은 오는 5월 중 확정될 전망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올해 상반기에 7개 시도 교육청을 선정해 교육청별로 약 40개씩 총 300개의 선도학교를 지정할 계획이다. 이들 학교에선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하기 전까지 에듀테크 프로그램을 활용해 수업을 진행하면서 우수 사례를 발굴하도록 한다.
선도학교는 정규교과뿐 아니라 늘봄학교(초등)와 방과 후 보충 과정에서도 AI 수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터치'(TOUCH·Teachers who Upgrade Class with High-tech) 선도교사단을 양성한다. '터치' 교사란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의 철학을 이해하고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뜻한다.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수업 혁신 의지가 강한 교사들을 뽑아 전문성을 키우고, 이들이 다른 교사들에게 디지털 교과서 활용을 지원하도록 돕는다. '터치' 교사는 올해 400명, 2024년 800명, 2025년 1천500명 규모로 확대하는 게 목표다.
이 밖에 한국교육개발원(KEDI)을 '디지털교육지원센터'로 지정해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는 다양한 학습 모델도 개발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디지털 교육 기반 마련을 위해 2025년까지 기기 보급 현황과 학교 무선망 상태를 점검하고, 디지털 교과서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분석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