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미분양 6천가구에 더해 내년까지 입주 물량도 1만여가구 쏟아져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및 분양 시기 조절해 대책 마련
포항지역 주택시장 미분양이 심각한 수준(매일신문 지난해 11월 1일 보도 등)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돼 포항시가 승인 시기 조정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한다.
16일 포항시는 주택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과 분양 시기 조정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사업 신청을 강제로 막을 권한은 없지만, 신규 사업 희망자에게 포항지역의 미분양 현황 및 주택시장 침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사업 추진의 속도 조절을 꾀하겠다는 계획이다.
쉽게 말해 주택 물건이 한꺼번에 시장에 쏟아지지 않도록 신규 사업 시기를 넓게 분포시키겠다는 것이다.
시는 아울러 기존 공급자의 자구책 마련을 위해 미분양 주택이 많은 공동주택 시행사 및 시공사를 모아 수시로 미분양해소대책 간담회도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포항시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방문해 분양보증 예비 심사 및 본심사의 강화를 통한 분양 시기 조정을 요청한 바 있다.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최근(지난달 말 기준)까지 미분양 주택이 6천 가구에 이른다.
포항시 인구가 1995년 영일군 통합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해 말 처음으로 50만명 선이 무너진 49만8천여명이 됐지만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립은 계속 늘어나 미분양 가구가 쌓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경고 메시지도 꾸준히 나왔다.
김하영 포항시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은 지난해 10월 제1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포항지역의 아파트 적정 공급량은 연간 2천400여 가구지만, 포항시가 도시기본계획을 과대 해석해 분양 허가를 확대시키는 바람에 미분양이 걷잡을 수 없이 증가했다"고 비판했다.
김복수 포항시 공동주택과장은 "촉발 지진 후 약 3년 간 신규 분양이 없다가 2021년 하반기부터 신축아파트가 공급됐고, 최근 공동주택 공급물량이 단시간에 몰림에 따라 미분양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포항시 차원에서도 미분양 해소 및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고, 무엇보다 실질적인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실질적인 권한이 있는 국토교통부 등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이 요구되는 만큼 대책 수립을 지속 건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