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 걸로 아이부터 챙긴다’ 설 선물 키워드 변화상

입력 2023-01-09 11:41:45 수정 2023-01-09 19:19:25

아이들 위한 문구·학용품류104%, 노트북·PC 72%↑
설 선물 구매율 지난해 같은 기간 62%→82% ↑
경제활동 재개로 인해 고향 방문은 늘었지만 고물가로 단가는↓

G마켓 소비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설 명절을 앞두고 자녀들을 위한
G마켓 소비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설 명절을 앞두고 자녀들을 위한 '아이 용품' 판매량이 늘고 있다. G마켓 제공

설 명절을 앞두고 자녀들을 위한 '아이 용품' 판매량이 늘고 있다. 더불어 설 선물 전체 구매건수는 늘었지만 판매단가는 낮아지며, 부모님을 위한 고가의 효도 상품이 인기를 끌던 지난해에 비해 저렴한 아이들을 위한 용품으로 설 선물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

9일 G마켓이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판매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문구·학용품류와 노트북·PC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4%, 72%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도서·교육(52%), 장난감·완구(66%), 자전거·레전(25%), 영유아를 위한 출한 육아용품(23%) 등 아이들을 위한 선물들이 모두 증가했다고 분석된다.

장난감 완구 품목에서는 스포츠완구(72%), 캐릭터완구(46%), 블록(50%)의 판매가 늘었다. 디지털 기기 품목 에서는 노트북(101%), 스마트워치(119%), 디지털학습기(342%), 게임기(37%) 등이 대폭 상승했다. 롤러스케이트(43%), 킥보드(37%) 같은 레저용품과 신생아 완구(98%), 신생아 선물세트(66%) 등의 영유아용품도 인기를 끌었고, 유아동한복도 지난해보다 142% 더 팔렸다.

G마켓 관계자는 "엔데믹 이후 처음 맞이하는 설날을 앞두고 장난감, 디지털기기 등 아이들이 좋아할 만할 선물을 온라인을 통해 미리 준비하려는 수요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체 설 선물 구매율 또한 증가했다. 9일 GS샵이 운영 중인 '위대한 설' 기획전의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6일까지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 구매건수는 지난해 설과 비교해 15%가량 증가했다.

가격대별로는 10만 원 미만 상품 판매 비중이 지난해 62%에서 올해 80%로 증가했다. 10만 원 이상은 21%에서 16%로 감소했고 20만 원 이상은 8%에서 2%로, 30만 원 이상은 9%에서 2%로 줄었다. 10만원 미만 선물 상품 구매건수는 김, 햄 등 식품과 과일 선물세트류를 중심으로 지난해 설보다 20% 늘었다.

GS샵 관계자는 "리오프닝 즉 경제활동 재개로인해 고향에 방문하려는 수요가 많아 설 상품 구매건수가 늘었지만, 고물가 경기영향으로 단가가 낮아졌다"고 평가했다.